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우크라이나 평화회의 폐막…공동성명에 78개국만 서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브라질, 인도, 남아공 등
러시아와의 관계 의식한
개발도상국들 성명 외면


매일경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16일(현지시간) 스위스 니드발젠주 뷔르겐슈톡에서 열린 우크라이나 평화회의에서 서류를 보고 있다. AF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우크라이나 전쟁을 끝낼 방안을 찾기 위해 스위스에 개최된 우크라이나 평화회의가 반쪽 행사로 마무리됐다. 브릭스를 비롯한 글로벌 사우스 국가들이 회의 결과물인 공동성명을 외면했다. 남반구와 북반구 저위도의 개발도상국을 의미하는 글로벌 사우스는 자원과 인구를 앞세워 국제사회에서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스위스 연방정부는 16일(현지시간) 니드발젠주 뷔르겐슈톡에서 100여 개국 대표들이 모인 가운데 이틀간 열린 우크라이나 평화회의에서 80여 개 국가가 서명한 공동성명 채택과 함께 폐회됐다고 밝혔다. 당초 80개 넘는 국가가 공동성명에 서명한다는 보도가 나왔으나 결국 78개국 서명으로 막을 내렸다고 AP통신이 전했다.

러시아, 중국이 주도하는 신흥 경제국 연합체 브릭스(BRICS) 소속인 브라질과 인도, 남아프리카공화국, 아랍에미리트(UAE) 등 국가들이 공동성명을 채택하지 않았다. 브릭스 가입이 승인된 사우디아라비아와 가입을 추진 중이거나 관심을 표명한 인도네시아와 태국, 리비아, 바레인 역시 공동 성명에 서명하지 않았다. 그밖에 아르메니아와 멕시코, 슬로바키아와 회의 주최국이자 중립국을 표방하는 스위스, 교황청이 서명에 불참했다.

브릭스 회원국을 포함한 이들 비서명국은 러시아와의 관계를 고려해 이같이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블룸버그는 이들 비서명국의 공통점이 글로벌 사우스라고 전했다. AP통신은 “평화를 향한 첫걸음을 내디딘 회의였지만 상당수 국가가 공동성명에 서명하지 않아 앞으로의 외교 방향도 모호해졌다”고 분석했다. 러시아는 지난 4월 회의에 참석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러시아와 긴밀한 관계를 맺는 중국도 대표단을 보내지 않기로 했다.

공동성명은 참가국이 국제법과 유엔 헌장을 기반으로 우크라이나의 지속 가능한 평화 체제를 위해 건설적으로 논의했다는 사실과, 모든 국가의 영토보전과 정치적 독립을 위해 무력 사용을 자제한다는 원칙을 재확인했다. 또 우크라이나의 원전 시설은 우크라이나의 완전한 주권적 통제하에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정해 놓은 원칙에 따라 안전하게 운영돼야 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마지막으로 전쟁포로의 완전한 교환·석방과 난민이 된 우크라이나 아동·민간인 억류자의 송환을 촉구하는 내용도 실렸다.

비올라 암헤르트 스위스 대통령은 이날 폐회 연설에서 “공동성명은 우크라이나 국민과 전쟁으로 인해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모든 이들에게 보내는 분명한 신호”라며 “유엔 헌장에 근거해 우크라이나 평화를 추구하자는데 공통된 이해를 했다는 점은 더욱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폐막식에서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 영토에서 철수하면 즉시 협상에 나설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

공동 주최국인 스위스는 후속 회의가 열릴 것을 기대하고 있다. 비올라 암헤르트 스위스 대통령은 이날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차 우크라이나 평화회의에 참석할 경우 국제형사재판소(ICC) 체포영장을 집행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러시아군은 우크라이나 평화회의 기간에도 군사 압박을 이어갔다. 이날 우크라이나 평화회의 도중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를 향한 진격을 계속한 것이다. 인테르팍스에 따르면 러시아 국방부는 일일 보고서를 통해 러시아 부대가 자포리자 지역에서 자히르네 정착촌을 해방하고 더 유리한 위치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