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인터뷰] 싱가포르 인기 틱톡커들 “알고리즘 타고 세계로… 평범한 사람도 유명해질 수 있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미국 전역에서 냉동김밥 품절 대란를 일으킨 ‘냉동김밥 시식 영상’, 한국은 물론 세계적으로 인기를 끈 ‘슬릭백(공중부양 춤) 챌린지.’ 작년 말 틱톡에서 시작돼 글로벌 트렌드가 된 이 영상들엔 공통점이 있다. 해당 영상을 만든 틱톡커(틱톡에 영상을 만들어 올리는 이용자)가 영상이 인기를 끌기 전까지만 해도 팔로어가 많지 않은 평범한 사람이었다는 점이다.

조선비즈

싱가포르 원래플스키 틱톡 본사에서 만난 틱톡커 비비엔 토와 버니스 림./싱가포르=김송이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콘텐츠 하나로 유명 틱톡커가 될 수 있는 데에는 틱톡 특유의 알고리즘이 작용했다. 팔로잉을 맺은 친구의 콘텐츠를 먼저 보여주는 다른 소셜미디어(SNS)와 달리 틱톡의 첫 화면은 ‘포 유(For You)’라는 추천 페이지로 구성돼 있다. 이 페이지는 이용자가 보고 싶어할 만한 콘텐츠를 끊임없이 노출해 평범한 일반인도 입소문을 타면 폭발적인 조회수를 기록하게 한다.

지난 11일 싱가포르 틱톡 본사에서 틱톡커 2명을 만났다. 한국을 좋아해 K-뷰티 영상을 만들고 있다는 비비엔 토(29)와 버니스 림(28)이다. 17일 기준 비비엔의 팔로어 수는 약 5만9000명, 버니스는 3만8000명이다. 비비엔은 지난해 자신이 올린 한국 아이돌 헤어 메이크업 관련 영상이 바이럴을 타면서 6개월 만에 2만명의 팔로어를 모았다.

비비엔과 버니스는 어린 시절 소녀시대, 동방신기 등 한국 아이돌들을 ‘덕질’하며 한국 문화를 좋아하게 됐다. 이들이 만든 영상도 좋아하는 한국 연예인들의 화장법이나 옷차림을 따라하는 내용이 됐다. 비비엔은 “자신이 진짜 좋아하는 주제로 콘텐츠를 만들어야 잘 만들 수 있다고 생각했고, 메이크업 아티스트라는 직업적 장점을 살려 한국식 화장법을 올리다보니 어느 순간 유명해졌다”고 말했다.

조선비즈

비비엔이 블랙핑크 지수의 헤어 메이크업을 따라하는 영상(왼쪽)과 버니스가 헤라 립 제품을 시험하는 영상./틱톡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대학 시절 한양대에서 교환학생으로 공부했다는 버니스는 “졸업 후 한국 기업의 화장품을 홍보하는 일을 하면서 나만의 콘텐츠를 만들고 싶었다”면서 “가수 같은 유명인이 인기가 있는 다른 SNS와 달리 틱톡에서는 누구나 알고리즘을 타면 유명해질 수 있고, 나 역시 평범한 직장인이었다”고 말했다. 버니스는 마케팅 회사에서 한국 브랜드 화장품을 홍보하던 경험을 살려 ‘K-팝 메이크업 재해석’ 등의 영상을 만들고 있다.

두 사람의 영상 중 높은 조회수를 기록한 영상은 한국 문화를 주제로 한 것이다. 비비엔이 작년 1월 올린 블랙핑크 제니의 헤라 광고 헤어 메이크업을 따라하는 영상은 조회수가 70만회를 넘었고, 그는 동남아 1위 이커머스 플랫폼 라자다에서 K-뷰티 방송을 진행하기도 했다. 한국 화장품 브랜드 헤라의 립글로즈를 활용해 메이크업을 하는 버니스의 영상은 조회수 96만회를 돌파한 상태다.

이들이 말하는 틱톡의 장점은 간편성이다. 영상 하나를 만드는 데 긴 시간이 필요한 유튜브와 달리 ‘숏폼(짧은 동영상)’ 중심의 틱톡은 스마트폰 카메라를 켜고 앱에서 제공하는 음원을 골라 입힌 후 촬영해 바로 업로드하면 된다. 틱톡은 콘텐츠 제작을 위한 편집 도구도 앱 내에서 자체 지원한다. 비비엔은 “어떤 영상을 만들지 기획하고 자료 조사하는 데에는 수일이 걸리지만 영상 제작 자체는 간편해 하루에 8개를 찍은 적도 있다”고 했다.

버니스와 비비엔은 틱톡을 통해 자신을 ‘브랜딩’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버니스는 “한국 메이크업 영상이 알고리즘을 타면서 지구 반대편 미국까지 닿은 적이 있는데, 당시 미국 화장품 브랜드에서 협업 요청이 들어왔다”고 했다. 비비엔도 “다른 문화권에서 영상이 소비되면서 싱가포르에 여행 오면 나에게 메이크업을 받을 수 있는지 문의하는 경우도 있었다”면서 “틱톡을 통해 싱가포르 로컬 메이크업 아티스트에서 글로벌 아티스트로 성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싱가포르=김송이 기자(grape@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