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지구 온난화' 기후플레이션…2040년까지 물가 0.6% 뛴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은행,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기온 1℃ 상승 시, 1년 후 농산물가격 2%↑·물가 0.7%↑

"정부, 중장기 시계에서 기후플레이션 대응해야"

[이데일리 하상렬 기자]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플레이션’으로 2040년까지 소비자물가가 최대 0.6% 높아질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기온상승이 농산물가격을 올려 물가를 끌어올릴 것이란 관측이다.

이데일리

서울 중구 한국은행.(사진=이데일리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은행은 18일 ‘물가안정목표 상황 점검회의’를 열고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기후변화로 인한 물가 영향은 주로 농산물 등 식료품 가격을 중심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는 가공식품의 해외 원재료 의존도가 높은데, 글로벌 기후변화로 인한 국제 곡물가격 변동이 수입물가를 통해 물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최근 동남아시아와 남유럽 지역에서 가뭄 등 기상악화가 발생하면서 설탕, 커피, 올리브유 등 생산이 줄어 가격이 급등, 식용유, 커피 등 국내 가공식품 가격에 시차를 두고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후변화는 국내 과실 생산량 감소에 영향을 미치면서 가격 급등을 유발했다. 올 1~5월 중 사과의 소비자가격은 전년동기비 75%, 과실은 37% 상승했다. 농촌진흥청은 현재 수준으로 온실가스 배출이 지속되면 2030년대엔 국내 사과 재배가능면적이 과거 30년에 비해 60% 감소할 것으로 예상한 바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폭염 등으로 일시적으로 기온이 1℃ 상승했을 경우, 농산물 가격 상승률은 0.4~0.5%포인트 높아지고 그 영향은 6개월가량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겨울철 한파 등 이상 저온 현상에서도 비슷하게 관찰됐다. 더 나아가 1년 동안 기온이 1℃ 상승한 영향을 분석한 결과, 1년 후 농산물가격 수준은 2%, 전체 물가 수준은 0.7% 높아지는 것으로 추정됐다.

한은이 지구 온난화의 인플레이션에 대한 장기 영향을 시산한 결과, 2040년까지 농산물가격은 0.6~1.1%, 전체 물가는 0.3~0.6%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은행 기후리스크 연구 협의체 NGFS의 ‘제4차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근거로 2019~2023년 중 평균 13.2℃에서 2040년까지 13.6~13.8℃까지 상승할 것으로 가정한 결과다. 한은은 국제 원자재가격 상승에 따른 간접효과를 감안하면 실제 기후변화의 국내 인플레이션 영향은 더 커질 것으로 봤다.

한은은 이상기후에 따른 기후플레이션 문제를 정부가 중장기적 시계에서 대응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한은은 “정부는 국내 기후환경에 적합한 농작물의 품종 개발 등을 통해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력을 강화해야 한다”며 “중앙은행은 기후변화로 인한 농산물가격 변동이 여타 품목으로 전이되면서 전반적인 물가 불안으로 확산하지 않도록 경제주체들의 인플레이션 기대 관리를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데일리

자료=한국은행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