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현대로템, 최신 군용 다목적 무인차량 공개… “현대차보다 먼저 자율주행 무인車 상용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현대로템, 4세대 ‘HR-셰르파’ 첫선

현대차그룹 첨단 주행보조 기술 접목

사람 대신 감시·정찰·부상병 후송·물자 이송 등 수행

지난 2021년 6개월간 시범운용… 우리 군 피드백 반영

스파르타 중장보병 전술 ‘팔랑크스’ 디자인 콘셉트

동아일보

현대로템 4세대 HR-셰르파 조감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현대로템이 현대자동차그룹 최신 주행보조시스템 기술을 접목해 무인 자율주행이 가능한 다목적 군용 장비 시제품을 만들었다. 용도와 목적, 기능, 운용 환경 등이 차이가 있지만 납품이 이뤄진다면 현대로템이 현대자동차나 기아보다 먼저 자율주행 무인차량을 상용화하는 셈이다. 현행 자율주행 기술의 경우 안전성 측면에서 아직은 복잡한 도심에서 사용하기 제한된다. 현대차그룹이 레벨3 수준 자율주행 기술을 보유하고도 아직 시장에 내놓길 망설이는 이유다. 반면 보병 군사작전은 주로 산악이나 험로 등 인적이 드문 곳에서 이뤄지기 때문에 자율주행 무인차량 운용을 위한 환경이 상대적으로 잘 갖춰진 것으로 볼 수 있다.

현대로템은 최근 제주도와 대전에서 열린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종합학술대회와 첨단국방산업대전에서 4세대로 거듭난 다목적 무인차량 ‘HR-셰르파(SHERPA)’ 외관 디자인을 선보였다. 셰르파는 히말리아에 살면서 등반가들을 위한 안내나 짐 운반 등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부족을 말한다. 현대로템 셰르파의 경우 ‘짐꾼’ 의미로 만든 이름이라고 한다.

4세대 HR-셰르파는 현대차그룹 최신 자율주행 기술을 접목해 전반적인 주행 완성도를 끌어올렸다고 한다. 군인은 대신해 감시나 정찰, 전투, 부상병 및 물자 이송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됐다. 1세대 최소개발 시제부터 2세대 신속시범획득 시제, 3세대 강건화 시제 등을 거쳐 4세대 모델은 구매시험평가를 위한 시제품으로 만들어졌다고 한다. 약 6년간 연구·개발(R&D)을 추진한 성과로도 볼 수 있다.

특히 해당 차량의 경우 현대로템이 방위사업청(방사청)에 최초로 제안해 개발된 차세대 무인화 장비라고 한다. 전 세계적인 저출산과 인구 고령화에 따른 군 병력 부족 현상과 전장에서 인명피해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신개념 다목적 무인차량을 제안한 것이다.
동아일보

현대로템 4세대 HR-셰르파 조감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후 방사청의 다목적 무인차량 신속시범획득사업을 현대로템이 단독으로 수주했고 1세대부터 4세대까지 성능 개선을 위한 연구·개발을 추진했다. 신속시범획득사업은 민간에서 4차 산업혁명 기술이 접목된 첨단 무기체계를 빠르게 도입하기 위해 마련된 제도다.

야전 시범 운용도 성공적으로 마쳤다. 지난 2021년 6월 2세대 셰르파 시제품 2대를 군에 납품해 6개월간 진행한 바 있다. 작년 6월과 9월에는 연합·합동 화력격멸훈련과 건군 75주년 국군의날 행사에도 참여했다. 다목적 무인차량으로는 유일하게 우리 군으로부터 실전 피드백을 받아 한반도 지형과 국군에 최적화되도록 성능 및 기능 개선이 이뤄졌다고 현대로템 측은 설명했다.

현대로템 관계자는 “현대차그룹과 긴밀한 협업을 통해 무인화 차량 정체성에 걸맞은 차세대 군용 자율주행 모빌리티가 완성됐다”며 “인공지능(AI)과 자율주행, 무인화, 전동화 등 고도화된 기술력뿐 아니라 내구성과 안전성, 디자인 등 기본에 충실한 제조기술이 HR-셰르파에 고스란히 이식될 수 있도록 전사적 역량이 집중됐다”고 설명했다.
동아일보

현대로템 4세대 HR-셰르파 조감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날 공개한 외관 디자인은 고대 그리스 중장보병 전투대형 ‘팔랑크스(Phalanx)’를 주요 콘셉트로 활용했다고 한다. 팔랑크스는 당시 최고의 수비 전술로 평가받는다. 영화 ‘300’에서 그리스 스파르타 군인들이 페르시아 대군에 맞서는 장면을 참고하면 된다. 밀집대형으로 배치된 보병들이 방패로 견고한 벽을 치고 장창으로 적군을 내리찍어 반격하는 전술을 말한다.

강력한 방어력으로 병력 피해 최소화에 기여했던 팔랑크스 전술은 최근 전 세계적인 인구 감소로 인한 병력 공백을 무인 기술로 대체해 안보 강화에 이바지하겠다는 HR-셰르파 개발 의도와 부합한다고 현대로템 측은 전했다.

차량 상부 원격사격통제체제(RCWS) 총구는 팔랑크스 전술에서 적을 제압하던 용맹한 장창처럼 정면을 향한다. 차체는 바다거북 등껍질처럼 견고하고 강인한 인상을 준다. 곳곳에 매끄러운 유선형 마감이 적용돼 입체적인 디자인을 보여준다. 작전에 투입되면 엄폐에 유리할 수 있도록 전고는 낮췄고 험한 야지에서 주행안정성을 확보하면서 장애물을 극복할 수 있도록 지상고(지면부터 차량 바닥면까지의 높이)는 높였다.
동아일보

현대로템 4세대 HR-셰르파 조감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프로텍션 가드(Protection Guard)는 럭비선수 헬멧 형상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한다. 차량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최적화된 기본 임무 수행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고 외부 충격을 흡수해 안전하게 환자를 이송하거나 물자를 보급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6륜으로 구성된 독립 구동 바퀴는 그리스 중장보병 갑옷을 연상시키는 커버가 적용됐다. 통일된 디자인을 살리면서 강인한 이미지를 구현한다. 바퀴 상단 머드가드(Mud Guard)는 지반이 불안정한 험로에서 차체 오염을 줄이고 구동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현대로템 관계자는 “4세대 HR-셰르파는 대한민국 육군에게 최적화된 장비로 거듭나기 위해 디자인부터 성능까지 모든 부분에서 수많은 담금질을 거듭했다”며 “현대차그룹의 우수한 기술력이 집대성된 HR-셰르파가 향후 국가 안보의 한 축으로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민범 동아닷컴 기자 mbkim@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