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매달 5만원씩"…NYT 소개한 '한국인들 강한 우정 유지 비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수제맥주축제를 찾은 시민들이 건배하고 있다.(기사와 직접 관계 없음)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가 한국인이 강한 우정을 유지하는 비결 중 하나로 ‘계모임’을 소개했다.

18일(현지시간) NYT는 ‘우정을 돈독하게 유지하는 한국인의 비결’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계모임 문화’를 보도했다.

NYT는 계모임을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해 ‘gyemoim’으로 적고는 이를 영어로는 ‘저축 그룹’(saving group)이라고 번역했다.

그러면서 “한국에서는 친구들이 휴가와 식사, 기타 사교 활동을 위해 저축하는 계모임을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소개했다.

실제 계모임을 하는 한국인 김모(32)씨와이모(35)씨의 사례도 자세히 다뤘다.

전직 교사이자 주부인 김씨는 2014년 한 모임에서 만난 두 친구와 계모임을 만들어 지금까지 이어오고 있다.

이들은 모임을 통해 10년간 300만원 이상을 모았고 이 돈으로 지난해 가을 다 같이 부산의 리조트로 여행을 다녀왔다.

세 친구는 각자 업무와 가족 일로 바빴지만, 계모임 덕에 가까운 사이를 유지할 수 있었다고 한다.

영어학원의 조교로 일하는 이씨도 고교 시절 친구들과 매달 5만원씩 내는 계모임을 한다.

이들은 모은 돈을 일 년에 몇 번씩 만나 고기를 먹거나 치맥 모임을 하는 데 사용한다고 한다.

이씨는 “처음에는 그냥 놀려고 모였는데 모두 일을 시작하면서 미래에 대해 더 많이 생각하게 됐다”며 “그래서 결혼식이나 장례식 등 인생의 중요한 행사를 할 때도 서로 지원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NYT는 계모임이 한국에서 자리잡을 수 있었던 이유에 대해 “한국의 신뢰 문화 때문”이라고 했다. 이어 “예를 들어 한국에서는 서울의 커피숍에 들어가서 신용카드와 현금으로 가득 찬 가방, 노트북, 지갑을 자리에 두고 화장실에 다녀와도 돌아왔을 때 모두 있는지 걱정할 필요가 없다”고 했다.

특히 신은철 카이스트 경영공학부 교수를 인용해 한국의 집단적 특성을 강조했다.

신 교수는 “여러분과 제가 친구라고 가정해보자”며 “내가 돈을 빌렸는데 갚지 않으면 여러분은 ‘은철이가 돈을 빌렸는데 안 갚았다’고 사람들에게 얘기할 것이다. 이는 집단적 특성으로 인해, 돈을 갚지 않은 사람은 속한 공동체에서 배척당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신 교수는 “(계모임은) 사실 한국만의 독특한 문화는 아니다. 금융시장이 없던 시절에 이런 관행이 처음 생겼다”며 “시간이 지나면서 이런 관행은 사람들의 우정을 돈독히 하고 공동체를 단결시키는 방법으로 발전했다”고 말했다.

신 교수는 계모임 문화가 한국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라고 짚었다.

그는 “이런 관행은 금융시장이 존재하지 않아 발전하기 시작했다”며 마을에서 돈을 모으고, 물품을 사고, 수확물을 나누던 것에서 사람들이 우정을 굳건히 유지하고 공동체를 단결시키는 수단으로 발전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NYT은 “한국 사회에서 계모임을 잘 작동하게 해 주는 문화적 전통이 서구 문화에는 존재하지 않는다”며 “참여하는 사람들을 잘 알지 못한다면 (계모임과 같은) 공동 자금 운용은 (미국에선) 약간의 도박이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배재성 기자 hongdoya@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