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이슈 세계 속의 북한

김정은, 버젓이 '벤츠 퍼레이드'… 제재 어떻게 뚫었나 [북러정상회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사치품·운송수단, 북한에 판매 금지인데
벤츠 타고 평양 광장 활보한 김정은·푸틴
과거 "넉 달간 5개국 거쳐 밀수" 사례도
한국일보

블라디미르 푸틴(왼쪽) 러시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독일 메르세데스-벤츠 차량을 타고 19일 북한 평양 김일성 광장에서 열린 공식 환영식에서 인사하고 있다. A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보란 듯이 독일 메르세데스-벤츠 차량을 타고 북한 평양 광장에서 퍼레이드를 펼쳤다. 유엔의 대북 제재에 따라 북한에는 벤츠 차량 판매가 금지돼 있지만, 북한 정권이 제재망을 뚫었단 의미다.

19일(현지 시간) 영국 BBC방송, 러시아 타스통신 등에 따르면 김 위원장과 푸틴 대통령은 이날 낮 12시쯤 김일성 광장에서 열린 공식 환영식에서 메르세데스-벤츠 차량에 탑승해 이동했다. 두 정상은 차량 지붕을 열고 서서 평양 시민들에게 손을 흔들며 광장을 돌기도 했다.

이는 북한이 대북 제재망을 모종의 방법으로 회피하고 있음을 뜻한다. 벤츠 차량은 북한에 판매가 금지된 품목이어서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의 대북 제재에는 고가 차량을 비롯한 사치품은 물론 모든 운송수단의 직간접적인 대북 공급·판매·이전을 금지한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한국일보

블라디미르 푸틴(오른쪽) 러시아 대통령이 19일 북한 평양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태우고 '러시아판 롤스로이스'로 불리는 고급 리무진 아우루스를 운전하고 있다. 푸틴 대통령은 이날 이 자동차를 김 위원장에게 선물해 사치품과 운송수단 대북 이전을 금지한 안보리 제재를 위반했다는 비판을 자아냈다. AF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 위원장은 최근 수년간 버젓이 고급 수입 차량을 타고 공식 석상에 나타나 제재 우회 사실을 드러냈다. 미국 보이스오브아메리카(VOA)는 지난해 12월 북한 노동당 최고위급 간부들도 벤츠 승용차를 타고 회의장에 도착했다고 지적했다.

BBC도 이날 "제재에도 불구하고 푸틴 대통령 퍼레이드에 벤츠 차량이 등장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여러 국가를 거쳐 제재 품목을 밀수한 북한 정권 행태를 분석한 미국 비영리 연구단체 선진국방연구센터(C4ADS)의 2019년 보고서 내용을 전했다. C4ADS는 당시 보고서에서 "북한 정권의 방탄 전용차로 보이는 메르세데스 마이바흐 S600 2대가 4개월간 네덜란드, 중국, 일본, 한국, 러시아 등 5개국을 거쳐 평양에 도착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 정권은 제재 품목을 들여오기 위해 2015~2017년 최대 90개국을 이용했다.

벤츠 측은 북한과 일절 거래하지 않는 등 대북 제재를 준수하고 있다고 밝혔다. 벤츠는 BBC에 보낸 성명을 통해 "북한과는 어떤 사업도 하지 않으며, 대표부는 물론 다른 어떤 시설을 통해서도 북한 시장에 전혀 진출해 있지 않다"고 밝혔다. 또 "자사는 모든 제재 조치를 준수한다"면서도 "제3자에 의한 차량 판매, 특히 중고 차량 판매는 우리의 통제 범위를 벗어난다"고 설명했다.

김나연 기자 is2ny@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