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개인정보 유출 '해킹' 절반 차지…공공기관서 털렸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박 의원 "정부 보안 조치 강화해야"

아시아투데이

기사와 관련 없는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설소영 기자 = 최근 불법 스팸 문자가 기승을 부리는 가운데 지난해 일어난 개인정보 유출 사고의 원인 중 해킹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특히 공공기관에서 해킹으로 인한 개인정보 유출이 급증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박충권 국민의힘 의원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으로부터 제출받아 21일 공개한 개인정보 유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해킹에 의한 유출이 전체 151건으로 전체 정보 유출 318건의 절반 가까이 차지했다.

두 번째로 많은 이유인 업무 과실은 116건이었다. 개인정보 유출 사유를 기관별로 보면 민간기관에서 해킹에 의한 유출은 지난해 136건으로 집계됐다. 민간기관에서 해킹에 의한 유출은 2019년 38건에서 2020년 151건으로 급증했다. 2021년 50건, 2022년 47건으로 다시 줄어든 뒤 지난해 135건으로 증가했다.

공공기관에서 해킹에 의한 유출은 2019년 2건, 2020년 3건, 2021년 5건, 2022년 4건 등 미미한 수준이었지만 지난해 15건으로 급증했다.

박 의원은 "우리 국민이 해킹으로 인해 심각한 피해를 보지 않도록 정부가 보안 조치를 더욱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