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ET톡] 데이터센터 수난시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자신문

세계가 데이터센터 구축에 열을 올린다. 인공지능(AI) 시대가 본격화되면서 대량 데이터를 저장·처리할 데이터센터 필요성은 더 커지기 때문이다. AI 대표 주자인 마이크로소프트와 오픈AI는 지난 3월 130조원 가량을 투입해 AI 데이터센터를 구축한다고 밝혔다. 아마존웹서비스(AWS), 구글 등 대표 빅테크도 해마다 수조원대 이상 투자해 데이터센터를 세계 곳곳에 설립한다는 계획을 전했다.

해외는 데이터센터에 대한 업계 관심 속 관련 시장이 성장 추세지만 국내 분위기는 이와 상반됐다. 각종 정부 정책으로 데이터센터 산업이 꽃피기도 전에 사장될 위기에 처했다. 업계에 찬물을 끼얹은 대표적 정책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최근 공개한 전력계통영향평가 제도다. 이 정책은 정부가 분산에너지 활성화 대책 일환으로 전력계통에 대한 영향 평가를 거쳐 전력을 제공하겠다는 것이 핵심이다.

데이터센터 사업자라면 대부분 이 평가를 거쳐야 하는데 평가 항목이 문제다. 이 평가는 전력 계통을 중심적으로 봐야하지만 지역사회 수용성, 지방재정기여도, 부가가치 유발 효과 등 비기술적 항목 배점이 40% 가량 차지한다.

업계는 정부의 전력난 우려 등으로 인한 데이터센터 지방분산정책에 동의하지만 현실적 상황 고려가 필요함을 지적한다.

대표적으로 직접고용 효과 항목은 비현실적이다. 직접고용이 300명 이상 발생해야 6점 만점을 받지만 100명 미만일 경우에는 0점이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 최근 개청한 대구센터도 직접 고용 인력은 100명이 안된다. 초대형 데이터센터도 300명을 넘기는 어렵다. 현실을 고려하지 않은 일방적 정책 추진은 바람직하지 않다.

데이터센터를 '전기먹는 하마'로 인식하는 시대는 지났다. 데이터센터는 데이터 주권과 연계된 국가 기간 산업이다. 때문에 미국, 일본 등은 자국내 데이터센터 설립과 유치에 각종 인센티브를 내건다. AI 시대 필수불가결한 기술이자 산업이 데이터센터임을 인식해 규제와 진흥을 동시에 살펴봐야할 때다.

김지선 기자 river@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