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수퍼달러’ 독주에 신흥국 신음…원화가치 급락, 1400원대 위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고공 질주하는 ‘수퍼 달러’가 신흥국과 아시아 외환시장을 강타했다. 신흥국 화폐가치는 줄줄이 급락했다. 중국 위안화와 일본 엔화가 맥을 못 추면서 원화값도 ‘1달러=1400원 선’을 위협한다. 탄탄한 경제를 자랑하는 미국 홀로 피벗(통화정책 변화) 시기를 미루면서 주요국 간 금리 격차가 벌어지면서다.

중앙일보

김영희 디자이너


‘수퍼 달러’에 다시 불이 붙었다. 월스트리트저널(WS)에 따르면 유로·일본 엔·스위스 프랑 등 세계 6개 통화에 대한 달러 가치를 반영하는 달러인덱스(1973=100)는 지난 21일(현지시간) 105.83으로 5월 초 이후 두 달여 만에 가장 높다.

가장 큰 불씨는 유럽중앙은행(ECB)과 캐나다은행, 스위스국립은행(SNB) 등 주요국 중앙은행이 미국보다 앞서서 기준금리 인하에 나서면서다. SNB는 3월에 이어 지난 20일(현지시간) 깜짝 기준금리 인하를 단행했다. 이와 달리 미국은 탄탄한 경제와 들썩이는 물가에 기준금리 인하 출발선에조차 서지 못했다. 미국의 장기화되는 5%대(5.25~5%) 긴축 여파로 주요국 간 금리 차가 더 벌어지면서 ‘강달러 현상’이 나타난 것으로 풀이된다.

중앙일보

김영희 디자이너


사그라지지 않는 수퍼 달러에 기초체력이 약한 신흥국 통화부터 직격탄을 맞았다.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22일(현지시간) 기준 JP모건의 신흥국 외환지수가 연초 이후 4.4% 하락했다. 2020년 이후 4년여 만에 최대 낙폭이다. 멕시칸 페소(달러당 18.10페소)는 21일(현지시간) 한 달 만에 6.9% 폭락했다. 미국 고금리에 과거 금리가 낮은 선진국에서 돈을 빌려 신흥국에 투자하는 ‘달러 캐리 트레이드’ 철수 영향이다.

한국 외환시장도 안심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 원화가 동조화 흐름을 띠는 중국 위안화와 일본 엔화가 올해 달러 대비 맥을 못 추고 있어서다. 중국은 경기를 살리기 위해 통화완화 정책을 펴고, 깊은 불황의 터널을 지나온 일본도 기준금리 인상에 신중하기 때문이다. WSJ에 따르면 지난 21일 위안화는 중국 역내시장에서 달러당 7.261위안으로 밀려났다. 올해 들어 가장 낮다.

중앙일보

정근영 디자이너


이날 일본 엔화도 한때 두 달여 만에 ‘1달러=159엔’ 선을 넘어섰다. 연초 이후 달러 대비 13.4% 급락한 ‘수퍼 엔저’다. 엔과 위안화가 동시에 미끄러지자 한국 외환시장도 긴박하게 움직였다. 지난 21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화값이 장 초반 달러당 1390원을 뚫고 1400원대를 위협했기 때문이다. 외환 당국은 국민연금과 외환스와프 거래 한도를 500억 달러로 1년여 만에 150억 달러 증액하며 대응했다. 국민연금이 해외 투자에 필요한 달러를 외환보유액에서 빌려 쓰는 한도를 늘려준 셈이다. 이후 원화값은 상승세가 진정되면서 전 거래일보다 달러당 3.6원(환율 상승) 하락한 1388.3원에 마감했다.

미국이 확실하게 ‘피벗 깜빡이’를 켜는 게 관건이다. 다만 탄탄한 미국 경제에 전문가들의 최근 9월 피벗 전망도 오락가락한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9월에 기준금리를 인하할 확률은 한국시간으로 23일 오후 5시 기준 59.5%다. 일주일 전(14일) 62%보다 낮아졌다.

김영익 서강대 경제대학원 교수는 “시기의 문제일 뿐 올해 미국이 기준금리 인하에 나설 것으로 예상한다”며 “미국 긴축과 달러 강세 여파에 신흥국 화폐가치가 폭락하거나 원화값 하락 우려가 지속되진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염지현 기자 yjh@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