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화성 뒤덮은 새까만 연기…전문가 "근처 있었다면 옷도 버려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24일 오전 경기 화성시 서신면의 일차전지 제조 업체인 아리셀 공장에서 불이 나 소방 당국이 진화에 나섰다. 뉴스1


경기 화성시 리튬전지 공장에서 24일 발생한 화재로 최소 22명이 숨진 가운데 전문가는 리튬이 탈 때 발생하는 유해물질에 대해 경고했다.

백승주 열린사이버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이날 YTN ‘뉴스ON’에 출연해 “리튬은 물에 닿으면 인화성 가스를 내뿜고 폭발적으로 연소한다”라며 “자체 독성으로도 피부에 화상 독성을 일으키고, 눈엔 피해를 준다”고 말했다. SNS 등 온라인에선 이날 화재로 공장에서 발생한 새까만 연기가 주변으로 피어오르는 영상이 퍼지고 있다.

백 교수는 “연기가 퍼지면 주민들이 영향을 받는다”라며 “리튬과 그에 따른 산화물·부산물들은 피부에 화상을 일으킬 수 있고 안구에도 손상을 줄 수 있어 그 근처에서 작업하거나 오염된 분이 있다면 피부 세척과 안구 세척, 옷 세탁 등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옷이 오염됐다면 버려라. 그렇게 제독을 적극적으로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리튬은 이날 소방당국의 구조 작업을 어렵게 만든 원인으로도 꼽힌다. 앞서 소방당국은 “리튬은 금속성 물질이라 물로 진화할 수 없어 진화에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리튬과 같은 알칼리 금속 등 가연성 금속이 원인인 금속 화재는 불이 꺼진 것처럼 보이더라도 섭씨 1000도 이상 고온을 보여 위험하고, 폭발 가능성이 있어 진화가 까다롭다.

백 교수는 “배터리 3만5000여개가 쌓여있는 상황에서 초기엔 수류탄 창고에서 수류탄 하나가 터졌을 때의 상황”이라며 “위험을 격리할 수 있는 방호막이 생기는 것인데, 초기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는 골든타임을 놓친 거 같아 안타깝다”고 말했다. 화재 당시 상황에 대해선 “전신 2도 화상을 입은 피해자가 나온 것으로 봐선 배터리 (폭발) 확산이 문어발처럼 퍼져나가다 고온에 도달했고, 그 복사열로 인해 피난하기 어려웠을 것”이라며 “자력으로 이동을 중단하게 되면서 안타까운 사고로 이어지는 과정으로 보인다”고 추정했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화성시 서신면 전곡리 소재 리튬전지 제조공장인 아리셀 공장에서 이날 오전 10시 31분쯤 화재가 발생해 이날 오후 6시 40분 기준 사망자 최소 22명이 발생했다. 사망자 22명 가운데 20명은 외국인으로 알려졌다.



채혜선 기자 chae.hyeseon@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