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푸틴, 우크라에 韓 무기 공급되면 北에 더많은 기술 공급할 수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스콧 스나이더, 한국의 우크라 무기제공 '리스크' 지적

노컷뉴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9일 새벽 북한 평양에 도착해 국빈 방문을 시작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간 정상회담으로 중국의 인도 태평양 전략이 혼란스럽고 복잡한 상황에 놓이게 됐다고 미국 전문가가 지적했다.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중국 전문가 주드 블란쳇은 24일(현지시간) '전례 없는 위협: 러시아와 북한의 동맹'을 주제로 한 온라인 팟캐스트 방송에서 "김정은과 푸틴은 중국의 역내 관계에서 혼란(mess)을 만들었다"면서 "중국은 한동안 이를 수습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특히 푸틴 대통령이 베트남을 방문한 것을 언급하며 "푸틴은 중국이 독점하고 있다고 믿었던 인도 태평양 지역에서 높은 수준의 전략적 역할을 하고 있다"면서 "푸틴은 베트남과 지속 가능한 안보 구조를 만들기 위해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는데 그것은 (중국 입장에서는) 중국의 비즈니스"라고 말했다.

그는 올해가 중국, 러시아, 북한 간 수교 75주년이라는 것을 언급하면서 "(중국이) 상당한 타격(a pretty significant slap in the face)을 입었거나 아니면 적어도 (상황이) 복잡해졌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중국은 북한, 러시아와의 양자 관계뿐만 아니라, 북러 관계까지 3가지 관계를 관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블란쳇은 "중국은 항상 북방 삼각 (동맹) 관계에 대한 아이디어를 멀리하고자 했다"면서 "유럽과의 관계를 생각해보면 그렇게 하는 것이 더 유연성을 주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그는 "중국은 곤란한 상황에 직면해 있다"면서 "중국이 새 북러 관계의 축을 끊으려고 할지, 아니면 한국과 관계를 강화하면서 이(북러 밀착)를 우회할지, 북방 삼각 동맹을 받아들일지 등 어떤 것도 (중국에) 좋은 옵션은 없다"고 말했다.

그는 또 북러 밀착에 대한 중국의 대응과 관련해 "중국은 당근만 있고 김정은이나 푸틴에 대한 채찍은 없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러시아의 대 북한 첨단기술 공급 가능성에 대해 "중국이 할 수 있는 것은 러시아를 겨냥해 경제적 지원 거래 등을 더 좋게 하면서 '하지 말라'고 하는 것뿐"이라고 전망했다.

스콧 스나이더 한미경제연구소(KEI) 소장은 러시아의 대북 군사 기술 지원의 수준과 관련해 한국이 북러 정상회담 후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공급 가능성을 시사하고 러시아가 이를 비판한 것을 거론하면서 "(한러 관계의) 다이내믹이 얼마나 (북한에 러시아 기술 등이) 전달될지 결정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국이 우크라이나에 무기를 공급하는 것에 대해 "한국이 우크라이나 문제에 대해서 왜 약한지에 대한 유럽의 궁금증은 해소할 수 있으나, 더 많은 (대북 기술) 공급이라는 푸틴의 보복 리스크가 있다"고 말했다.

스나이더 소장은 한국이 무기 공급을 시사하면서 대 우크라이나 정책 재고 가능성을 언급한 것 자체에 대해서는 "현시점에 한국은 그렇게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 이메일 : jebo@cbs.co.kr
  • 카카오톡 : @노컷뉴스
  • 사이트 : https://url.kr/b71afn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