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파업에 뿔난 애플…"아이폰 조립 자동화, 인력 50% 감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폭스콘 노동자 시위로 공급 차질 계기

다윈AI 도입으로 모니터링 요원들도 감원

애플이 아이폰 조립 공정을 자동화해 제품 생산 인력을 절반으로 감축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미 IT 전문 매체 디인포메이션이 2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해당 매체는 "애플이 높은 초기 비용 때문에 보류해왔던 공급망 및 생산 자동화 프로젝트를 다시 가동하고 있다"며 "최종 목표는 아이폰 조립 라인의 작업자 수를 최대 50%까지 줄이는 것"이라고 전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출처=A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애플이 이처럼 과감한 공정 자동화를 단행한 배경에는 과거 협력업체인 폭스콘에서 빚어진 소요 사태가 있다는 것이 매체의 설명이다. 2022년 11월 애플의 최대 협력업체인 폭스콘의 중국 조립공장에서 일하던 노동자들은 당시 수당 문제와 중국 당국의 엄격한 코로나19 방역 정책에 항의해 대규모 시위를 벌였다. 시위 과정에서 경찰과의 충돌이 벌어졌고 아이폰 생산에도 차질이 생겼다.

이 사건 직후 사비 칸 애플 운영 담당 수석부사장은 관리자들에게 "향후 몇 년간 아이폰 최종 조립 공정에 있는 노동자 수를 50%까지 줄일 것"을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아이폰 생산 자동화에는 매년 수억 달러의 비용이 들며, 애플이 협력업체에도 자동화를 위한 투자를 선행할 것을 압박하고 있다고 매체는 전했다.

애플이 지난해와 올해 초 각각 인수한 드리시티와 다윈AI도 제품 생산 자동화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드리시티는 공정의 병목 현상과 생산 문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다윈AI는 제조 과정에서 부품을 시각적으로 검사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매체는 지난해 9월 출시된 아이폰 15의 최종 조립 과정에서 이미 "상당한 정도의 자동화"가 이뤄졌다고 짚었다. 올해 출시 예정인 아이폰 16에도 아이폰 버튼 및 일부 부품 조립을 자동화할 계획이었으나 높은 결함률로 인해 취소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처럼 공정 자동화 및 인공지능(AI)의 활용이 확대되면서 기존 공장 노동자들의 일자리도 큰 위협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로 애플의 연례 공급망 보고서에 따르면 애플 협력업체에서 근무시간 준수 여부를 감시하는 모니터링 직원 수는 2022년 160만명에서 지난해 140만명으로 급감했다.

한편 애플은 유럽연합(EU)이 도입한 이른바 '빅테크(대형 정보기술 기업) 갑질 방지법'의 타깃이 되며 전 세계 매출의 최대 10%를 과징금으로 토해낼 위기에 처했다. 애플의 앱스토어가 개발자들이 애플리케이션(앱) 내에서 가격 정보를 제공하거나, 앱스토어 외부에서 이용 가능한 서비스 등에 대해 소비자와 소통하는 것을 막았다는 지적이다. 다만 이러한 악재에도 이날 뉴욕증시에서 애플의 주가는 208.14달러에 강보합 마감했다.

김진영 기자 camp@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