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국방과 무기

북·러 보란듯…尹, 美핵항모 타고 "한미동맹, 어떤 적도 물리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윤석열 대통령이 25일 오후 부산 해군작전기지에 정박 중인 미국 항공모함 시어도어 루즈벨트 항공모함을 방문, 크리스토퍼 알렉산더 9항모강습단장과 양용모 해군참모총장과 함께 루즈벨트함 비행갑판을 시찰하고 있다. 사진 대통령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은 25일 서로 간의 군사 개입을 명시한 북한과 러시아의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에 대해 “역사의 진보에 역행하는 시대착오적 행동”이라고 지적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대구 엑스코에서 열린 제74주년 6·25 행사 기념사에서 “(두 나라는) 유엔 안보리 결의를 정면으로 위반하는 군사, 경제적 협력 강화마저 약속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윤 대통령이 북·러 정상회담에 대해 직접 입장을 밝힌 건 처음이다.

윤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6·25 전쟁 뒤 대한민국과 북한의 길을 번영과 퇴행으로 규정한 뒤, 김정은 정권의 아킬레스건으로 불리는 인권 문제까지 들춰내며 북한을 비판했다. 윤 대통령은 “우리가 자유와 번영의 길을 달려오는 동안에도 북한은 퇴행의 길을 고집하며 지구상 마지막 동토로 남아있다”며 “주민의 참혹한 삶을 외면하고 동포의 인권을 잔인하게 탄압하면서 정권의 안위에만 골몰하고 있다”고 말했다.



북한의 연이은 오물풍선 살포에 대해선 “비열하고 비이성적인 도발까지 서슴지 않고 있다”며 “우리 군은 북한의 도발에 압도적으로 단호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강력한 힘과 철통 같은 안보태세야말로 나라와 국민을 지키고 이 땅에 진정한 평화를 이룩하는 길”이라며 “우리가 더 강해지고 하나로 똘똘 뭉치면 자유와 번영의 통일 대한민국도 먼 미래만은 아닐 것”이라고 말했다.

중앙일보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25일 대구 엑스코에서 열린 '6·25전쟁 제74주년 행사'에서 6·25의 노래를 부르며 태극기를 흔들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윤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북·러 정상회담과 관련해 북한에 대한 강도 높은 비판을 담았지만, 러시아에 대해선 수위를 조절하는 모습을 보였다. 북·러 조약 체결을 비판할 때도 그 주어는 북한이었고,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 등 러시아를 자극할 내용은 담기지 않았다. 최근 정치권에서 분출되는 자체 핵무장론 대한 언급 없이 국제사회와의 공조와 한·미 동맹을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이후 엑스코 연회장에서 6·25 전쟁 참전 유공자를 위한 위로연을 개최하며 “영웅들의 희생과 헌신을 모든 국민이 영원히 기억하고, 영웅들께서 합당한 존중과 예우를 받는 보훈 문화를 확산해 나가는 데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윤 대통령은 기념식 뒤 부산 해군작전기지에 정박 중인 미국 시어도어 루즈벨트 항공모함을 찾았다. 예고에 없던 깜짝 방문으로 현직 대통령이 미국 항공모함에 승선한 건 1974년 박정희, 1994년 김영삼 전 대통령에 이어 세 번째다. 떠다니는 군사기지로 불리는 루스벨트함은 26일 열리는 한·미·일의 첫 다영역(육·해·공·사이버) 군사훈련인 프리덤 에지(Freedom Edge)에 참석하려 지난 22일 입항했다.

중앙일보

윤석열 대통령이 25일 오후 부산 해군작전기지에 정박 중인 미국 항공모함 시어도어 루즈벨트 항공모함을 방문, 비행갑판 통제실에서 브라이언 스크럼 루즈벨트 함장의 설명을 듣고있다. 사진 대통령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검정 선글라스를 착용한 윤 대통령은 루스벨트함 비행갑판 통제실에서 함재기 운용 현황에 대한 브리핑을 받은 뒤 “이번 루스벨트 항모 방한은 지난해 4월, 저와 바이든 대통령이 채택한 워싱턴선언의 이행 조치”라며 “강력한 확장억제를 포함한 미국의 철통 같은 대한 방위공약을 상징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어 “북한은 핵과 미사일 능력을 고도화하고, 핵 선제 사용 가능성을 공언하며 한반도와 역내 평화를 위협하고 있다”며 “세계에서 가장 위대한 우리의 한·미 동맹은 그 어떠한 적도 물리쳐 승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루즈벨트함이 내일 한·미·일 3국 최초의 다영역 군사훈련인 프리덤 에지에 참가하기 위해 출항한다”면서 “자유민주주의 가치를 공유하는 한·미·일 3국의 협력은, 한·미 동맹과 함께 또 하나의 강력한 억제 수단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의 깜짝 방문은 북·러 정상회담 뒤 고조되는 안보 우려를 불식하기 위한 행보로 해석된다. 지난해 4월 한·미 정상이 합의한 워싱턴 선언은 양국 간 확장억제를 획기적으로 강화하기 위해 한·미 핵협의그룹 신설과 미국 전략자산 한반도 정례 배치 등을 담았다.

중앙일보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왼쪽부터), 한동훈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이 지난 23일 국회 소통관에서 국민의힘 7·23 전당대회 당 대표 출마 선언을 하던 모습.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편 6·25를 맞아 국민의힘 당권 주자들은 핵무장론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나경원 의원이 “이제는 우리도 핵무장을 해야 한다”며 적극적인 스탠스를 취했고, 한동훈 전 비대위원장은 “일본처럼 마음만 먹으면 언제나 핵무장을 할 수 있는 잠재적 역량을 갖추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반면에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은 “핵무장에 앞서 한·미간 핵 억제력을 강화할 때”라고 했다.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