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나경원이 쏘아 올린 ‘핵무장론’… 與 당권 주자들 설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나경원 “이제는 우리도 핵무장 할 때”

한동훈 “핵연료 재처리 기술 확보 대안”

원희룡 “워싱턴 선언 실효성 확보해야”

6·25 전쟁 발발 74주년인 25일 국민의힘 당대표 후보들은 독자 핵무장의 필요성을 놓고 설전을 벌였다. 나경원 의원이 핵무장을 해야 한다는 강경론을 내놓자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 윤상현 의원,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은 신중해야 한다며 맞받은 것이다.

핵무장 논쟁은 나 의원의 짤막한 페이스북 글이 촉발했다. 나 의원은 이날 오전 페이스북에 “6·25다. 이제는 우리도 핵무장을 해야 한다”라는 두 줄짜리 글을 게시했다. 핵무장 필요성, 방법론에 대한 설명은 없었다. 자극적인 단문의 구호로 안보, 대북 이슈에 강경한 정통 당원들의 반응을 끌어내려는 의도라는 평가가 나왔다.

세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나 의원은 이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국제 정세가 급변하고 있다. 최근에 러시아와 북한이 가까이하는 것은 이제는 북한이 사실상 핵보유국으로 인정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라며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집권하는 경우 미국의 태도도 바뀔 수 있기 때문에 이제는 우리가 핵무장에 대해 논의하고, 핵무장을 할 때”라고 부연했다.

그러자 다른 당권 주자들도 앞다퉈 입장을 밝히며 보수 일각의 주장이었던 핵무장론은 일순간 7·23 전당대회의 주요 이슈가 됐다. ‘당원투표 80%, 국민의힘 지지층·무당층 여론조사 20%’ 전대 룰의 영향이라는 해석이 뒤따랐다. 나 의원을 제외한 후보들은 모두 “핵무장은 무리”라는 입장을 밝혔지만, 각론에선 차이가 있었다.

한 전 위원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지금 단계에서 바로 핵무장으로 가면 국제 사회의 제재를 받고 국민이 타격을 입을 것”이라며 나 의원의 입장에 반대했다. 한 전 위원장은 그러면서도 “국제 정세는 늘 변하기 때문에 동맹에만 의존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일본처럼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 핵무장을 할 수 있는 잠재적 역량을 갖추는 게 필요하다”며 핵전력 강화는 필요하다고 했다.

한 전 위원장은 핵연료 농축, 재처리 기술 확보를 대안으로 제시했다. 그는 이를 두고 “한·미 원자력 협정개정이 필요하지만, 국제 제재 대상이 되지는 않는다. 현실적 실효적인 방안”이라고 설명했다. 한 전 위원장이 강조해 온 ‘방향과 결과 모두 좋은 정교한 리더십’을 부각했다는 해석이 나왔다.

원 전 장관은 정부 기조에 보조를 맞춘 입장을 내놨다. 원 전 장관은 페이스북에서 “지난해 한·미 양국 간 워싱턴 선언을 통해 ‘핵우산 강화’ 성과를 얻었다. 지금은 핵무장에 앞서 워싱턴 선언의 실효성 확보를 통해 대북 핵 억제력을 강화할 때”라고 밝혔다. 대통령실은 지난해 윤석열 대통령의 미국 국빈 방문 최고 성과로 워싱턴 선언을 꼽은 바 있다. 윤 의원은 “한반도 비핵화 선언을 지키는 한도 내에서 한반도 영해 밖에 핵무기를 탑재한 잠수함, 전략자산을 갖다 놓고, 한국과 미국 간 핵 공유협정을 맺는 게 훨씬 더 현실적 방안”이라고 주장했다.

당권 주자들이 모두 입장을 밝히자 나 의원은 페이스북에 다시 글을 올려 “‘안이하다’는 평가가 나올 법하다. 미국 정치권에서도 한국 핵무장론은 더 이상 금기어가 아니다”고 자신의 ‘안보 보수’ 정체성을 재차 강조했다.

판이 커지자 대권 잠룡들도 논쟁에 참전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날 국민의힘 외곽 조직인 ‘새로운 미래를 준비하는 모임’ 세미나 강연에서 “핵을 고도화해서 잠재적으로 일본 수준까지 끌어올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홍준표 대구시장도 페이스북에서 “북핵 해법은 남북 핵 균형 정책뿐”이라고 했다.

김병관·김주영 기자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