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더존비즈온, AI 비즈니스 플랫폼 ‘옴니이솔’ 출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업무효율 극대화, 개발환경 개선
창사 이래 첫 ‘파트너사 모집’
AI 기반 업무 혁신 사례 미래 비전
AWS, MS 등 글로벌 파트너사도 참여


매일경제

더존비즈온(대표 김용우)이 “빠르게 진화하는 기술과 경영환경의 변화에 맞춰 기업 핵심 업무 솔루션의 개념을 새롭게 제시하겠다”고 26일 밝혔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더존비즈온이 인공지능 기반 새 비즈니스 플랫폼을 출시한다.

더존비즈온(대표 김용우)이 “빠르게 진화하는 기술과 경영환경의 변화에 맞춰 기업 핵심 업무 솔루션의 개념을 새롭게 제시하겠다”고 26일 밝혔다. ‘ERP & More’라는 슬로건 하에 신개념 비즈니스 플랫폼, ‘옴니이솔(OmniEsol)’ 출시를 앞두고 신제품 발표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옴니이솔(OmniEsol)은 단순한 ERP를 넘어 AI 기반의 그룹웨어, 문서 작성·관리까지 융합된 비즈니스 플랫폼이다. ERP 10을 중심으로 MES(생산관리시스템), GSP(그룹사통합관리경영정보시스템), ICS(내부회계관리시스템) 등 기업 핵심 솔루션의 개별 업무 프로세스마다 AI가 더해져 업무 효율을 극대화하고 개발 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한다.

더존비즈온은 옴니이솔(OmniEsol) 출시에 맞춰 오는 7월 18일 서울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그랜드볼룸에서 신제품 발표회를 개최한다. DX(디지털 전환)를 넘어 AX(인공지능 전환)를 위한 차세대 비즈니스 플랫폼으로서 신제품 옴니이솔(OmniEsol)의 실체를 공개하고, 비즈니스 인사이트 및 네트워크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다.

옴니이솔(OmniEsol)의 가치와 경쟁력을 시연하는 발표 세션도 마련됐다. 글로벌 공식 파트너인 AWS, MS 등의 발표도 진행될 예정이다. ▲차세대 비즈니스 플랫폼으로의 진화 ▲AI 기반의 비즈니스 통합, 확장, 연결, 공유 플랫폼 ▲생산성, 효율성 극대화를 위한 차세대 플랫폼의 기준 ▲AI 기반 업무 혁신 사례와 미래 비전 ▲데이터를 활용한 기업 비즈니스 분석과 예측 등을 주제로 발표에 나선다.

현장 시연을 통해 옴니이솔(OmniEsol)에 접목된 AI 기술력을 다양한 사례와 함께 확인할 수 있다. 업무 생산성 혁신 AI 도구인 ‘ONE AI’와 산업별 맞춤형 AI 모델을 구현하는 DATA 전주기 지원 ‘Insight OFUS’도 한 자리에서 선보인다.

특히, 소프트웨어 개발 패러다임의 혁신이 기대되는 AI 소프트웨어 개발 플랫폼 ‘GEN AI DEWS’도 공개한다. GEN AI DEWS는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 AI 기술을 접목해 소스 코드 생성 등 단순하고 반복적인 작업을 자동화하고, 분석과 검증까지 지원하는 AI 기반의 차세대 개발 플랫폼이다. 이를 통해 개발 과정의 오류를 줄여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개발 인력난으로 고충을 겪는 많은 소프트웨어 개발, 서비스 기업들의 고민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신제품 발표회를 통해 더존비즈온은 ‘파트너사 모집’에도 나선다. 더존비즈온은 파트너사와 함께 옴니이솔(OmniEsol)을 통해 대기업, 대형 공기업이 의존하고 있는 외산 솔루션을 대체하고 글로벌 시장까지 진출하는 성공사례를 쌓겠다는 야심찬 포부를 밝혔다. 비즈니스 파트너 공개 모집으로 상생의 협력 기회를 발굴하고, 기술력과 영업력 기반의 동반성장 비즈니스 생태계를 조성하는 계기를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더존비즈온 이강수 사장은 “옴니이솔(OmniEsol)은 지난 30년간 다양한 기업 업무 솔루션을 개발하며 체득한 노하우와 AI라는 최신 IT 기술을 집대성한 결과이자 완결판으로, 비로소 어떤 외산 솔루션과도 경쟁할 자신이 있다”며, “옴니이솔(OmniEsol)로 대기업, 중견기업, 대형 공기업의 업무를 효율화하여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글로벌 파트너사와 함께 세계 시장으로 진출하겠다”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