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화성 화재’ 언급한 배터리 세계 1위 中기업 회장…“가격 아닌 안전 경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중국 배터리 제조기업 CATL의 쩡위친 회장이 배터리 안정성을 강조하면서 배터리 공장 화재 사고를 언급했다. 사진은 지난 2018년 7월9일 독일 베를린에서 기자회견에 참석한 쩡위친 회장의 모습. [로이터 = 연합뉴스]


중국 최대 배터리 제조업체 CATL(중국명 닝더스다이·寧德時代) 쩡위친 회장이 한국 배터리 공장 화재를 언급하며 ‘배터리 안전성’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26일(현지시간)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쩡 회장은 이날 중국 다롄에서 열린 하계 다보스포럼에서 중국 전기차 및 부품 제조업체가 가격 경쟁을 중단하고 제품의 신뢰성을 보장하는 데 집중할 것을 촉구했다.

그는 한국 배터리 공장에서 화재가 발생해 불행하게도 많은 사람이 희생됐다며 “절대적인 가격이 아니라 생명 주기, 품질, 안전에서 격렬하게 경쟁해야 하며 안전하지 않은 배터리를 집에 둔다면 끝없는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예를 들어 다른 사람이 만든 배터리는 1위안이지만 재활용이 불가하고, 내가 만든 배터리는 5000회를 사용할 수 있지만 1.5위안이라고 가정하면, 평균적으로 우리가 만든 것이 더 가치가 있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쩡 회장은 구체적으로 화재가 발생한 한국의 배터리 공장을 거론하진 않았으나, 17명의 중국인 희생자가 나온 경기도 화성 리튬전지 제 조공장에서의 화재를 언급한 것으로 보인다.

그는 최근 논란이 된 ‘100일 분투 계획’에 대해 “100일 분투는 기본기를 충실히 하자는 것이었고 이를 강요하지는 않았다”고 해명했다.

최근 차이신 등 현지 언론은 CATL이 직원들에게 주 6일 출근하고 아침 8시부터 밤 9시까지 근무하는 ‘896 근무제’를 100일간 실시한다고 해 논란이 일었다.

CATL은 전력 배터리 분야에서 세계 1위로 올라선 중국 대표 기업이다. CATL도 리튬 이온 배터리 제조를 전문으로 다루고 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