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푸틴 러 정권, 한국 정부 압박 강화..."대립적 대러 정책 재검토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러 외무차관, 이도훈 주러대사에 "한국 당국, 대립 정책 재검토해야"

"수십년 한러 협력 파과, 현 한국 지도부 탓"

외무부 대변인 "한, 우크라에 살상무기 제공시, 한러관계 치명적 결과"

아시아투데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9일 북한 평양 금수산 영빈관에서 진행된 북·러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 체결식에서 조약문을 들고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로이터·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정권이 한국 정부에 대한 압박을 강화하고 있다.

안드레이 루덴코 러시아 외무차관은 26일(현지시간) 이도훈 주러시아 한국대사와 만나 한국 정부의 대(對)러시아 정책이 대립적이라며 이를 재검토하라고 촉구했다.

마리야 자하로바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도 이날 한국이 우크라이나에 살상무기를 제공한다면 한·러 관계가 치명적인 결과를 맞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외무부는 홈페이지를 통해 루덴코 차관과 이 대사가 이날 외무부 청사에서 면담했다며 "(이 대사를 통해) 한국 당국에 한반도의 긴장 고조를 촉발하는 대립적인 정책을 재검토하고, 동북아시아에서 평화·안정·화해를 달성하는 효과적인 방법을 모색하는 길을 택하기를 촉구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수십년간 쌓아온 한·러 건설적 협력의 산물이 파괴된 것은 한국의 현재 지도부 탓이라고 주장했다.

외무부는 19일 푸틴의 북한 국빈방문과 북·러의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 조약' 체결에 따른 양국 협력 발전에 대한 한국 정부 고위 인사들의 '반러시아적 발언'을 허용할 수 없다고 했다.

외무부는 "러시아와 북한이 한반도 평화와 안보를 위협한다는 근거 없는 비난은 러시아와 중국을 억제하기 위해 동북아에서 미국 중심 군사 블록을 구축해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쇠퇴하는 패권을 유지하려는 미국의 공격적 계획에서 국제사회의 관심을 돌리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자하로바 대변인도 이날 브리핑에서 북·러 '조약' 체결에 대한 대응으로 한국 대통령실이 우크라이나에 대한 살상무기 지원 문제를 재검토할 수 있다고 발표한 것과 관련, "우리는 러시아와 한국의 관계에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한국의 성급한 조치에 대해 경고하고 싶다"고 말했다고 타스·스푸트니크 등 러시아 통신이 전했다.

세르게이 랴브코프 외무차관은 '조약'에 대해 "침략이 발생할 경우 서로를 도울 것이지만 아무도 공격하지 않으면 이 조항은 발동되지 않는다"며 "방어적"이라고 강조하고, 서방이 모든 것을 두려워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힐난했다.

그는 '북한·이란과 협력이 미사일 기술 확산 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국제 수출통제 체제인 미사일기술통제체제(MTCR)의무 대상에 해당하느냐'는 질문에 MTCR이 제재 체제가 아니며 반드시 지켜야 하는 법적 구속력도 없다고 주장한 뒤 "일반적으로 이는 민감한 분야에서 투명성과 예측 가능성을 보장하는 작업을 나타내는 형식"이라며 "우리는 다른 국가들과 협력을 발전시킬 때를 포함해 이러한 요소들에서 벗어나지 않는다"고 답했다.

러시아가 MTCR 참여국으로서 함께 만든 책무와 한도의 틀 안에서 행동하고 있다고 원론적으로 답변한 것이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