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3시간만에 실패로 돌아갔다”...탱크 몰고 궁 진입한 볼리비아 쿠데타 결국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후안 호세 수니가 전 합참의장
탱크·장갑차 앞세워 대통령궁 진격
대통령 “불복종 용납못해” 철군명령
대법원, 시민단체 성토 성명 잇따라


매일경제

26일(현지시간) 볼리비아 수도 라파스의 무리요광장에서 군사 쿠데타가 일어나자 루이스 아르세 볼리비아 대통령을 지지하는 시위대가 정부 청사로 몰려와 군사경찰과 대치하고 있다. [EPA =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남미 볼리비아에서 일부 군 장병이 대통령궁까지 진격하는 쿠데타가 발생했으나 3시간 만에 실패로 돌아갔다.

27일(현지시간) AP통신에 따르면 후안 호세 수니가 볼리비아 장군(전 합참의장)은 전날 오후 3시께 군 일부 장병들과 탱크와 장갑차 등을 앞세워 수도 라파스 무리요 광장에 집결했다. 무리요 광장 앞에는 대통령궁(정부청사)과 국회, 대성당이 위치하고 있다.

볼리비아 군은 청사 앞에 대오를 갖추고 시민들의 통행을 일부 통제했고, 장갑차로 청사 건물 입구를 부쉈다. 시민들을 해산시키기 위해 광장 주변에서 최루가스를 쏘기도 했다.

수니가 장군은 현장의 취재진에게 “수년 동안 소위 엘리트 집단이 국가를 장악하고 조국을 붕괴시켰다”며 “우리 군은 민주주의 체제를 재구성해 국가를 일부 소수의 것이 아닌 진정한 국민의 것으로 만들려고 한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루이스 아르세 볼리비아 대통령이 이날 오후 대통령궁 청사 안으로 들이닥친 수니가 장군에게 철군을 명령했다. 아르세 대통령이 청사 복도로 들이닥친 수니가 장군과 맞서 “나는 군 통수권자로서 이런 불복종을 용납할 수 없다. 철군할 것을 명령한다”며 철군을 요구하는 모습이 TV를 통해 생중계됐다.

아르세 대통령은 이어 군 지휘부 3명을 즉각 교체하고 긴급 대국민 연설을 통해 국민에게 민주주의를 수호해줄 것을 촉구했다.

이에 호세 윌슨 산체스 신임 합참의장은 ‘수도 집결 장병 부대 복귀 명령’을 내렸고 대법원, 경찰과 소방 노조, 시민사회단체 등은 잇따라 군을 성토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볼리비아 군은 결국 이날 오후 6시에 조금 못 미치는 시간에 철군했다. 수니가 장군은 이날 저녁 경찰에 체포됐다.

내년 대선을 앞두고 군부 쿠데타 시도가 발생하면서 볼리비아 정치 불안이 심화되는 모양새다. 최근 아르세 대통령이 같은 사회주의운동당(MAS) 소속 에보 모랄레스 전 대통령과 계파 갈등을 빚으면서 정국이 어지러운 상황이다.

지난 2019년 헌법을 자의적으로 해석하며 4선에 도전했다 부정선거 의혹과 반대 시위에 밀려 사임했던 모랄레스 전 대통령은 지난해 계파를 집결해 당권을 잡고 내년 대선 출마를 선언한 바 있다. 그러나 작년 12월 연임 여부와 무관하게 2차례까지만 임기를 수행할 수 있다는 볼리비아 헌법재판소 결정이 나오면서 모랄레스 전 대통령의 차기 대선 출마가 불가능해졌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