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메타 유료서비스 전환 '제동'
예비결론 확정땐 18조원 과징금
美 빅테크에 경쟁위반 제재 확대
미국 소셜미디어 공룡 메타플랫폼스가 1일(현지시간) 유럽연합(EU) 디지털시장법(DMA) 위반 판정을 받았다. 지난달 애플, 마이크로소프트(MS)에 이어 세 번째 DMA 위반 사례다. 로이터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유럽연합(EU)이 이번엔 메타플랫폼스가 디지털시장법(DMA)을 위반했다고 결론 냈다. 예비 결론이 확정되면 연간 매출의 최대 10%인 134억달러(약 18조원)를 과징금으로 물어야 한다. 애플, 마이크로소프트(MS)에 이어 메타까지 미국 빅테크 업체들에 대한 EU의 경쟁위반 제재가 확대되고 있다.
EU는 1일(현지시간) 메타가 맞춤형 광고 서비스를 도입하면서 DMA를 위반했다고 판단했다.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모기업인 메타는 지난해 유럽에서 유료 서비스에 가입하지 않은 가입자들에게는 개인 맞춤형 광고를 내보내는 서비스를 시작했다. EU는 이를 시장 경쟁을 저해하는 행위로 판단했다.
메타는 앞서 지난해 EU 최고법원인 유럽사법재판소(ECJ)의 판결 뒤 새로운 서비스를 도입했다.
집행위는 그러나 1일 성명에서 메타의 맞춤형 광고 서비스는 2가지 핵심에서 EU의 DMA를 위반했다고 판단했다.
우선 사용자들이 개인 정보를 덜 사용하면서도 '맞춤형 광고' 기반 서비스와 비슷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선택을 할 수 없도록 한 점을 꼽았다.
집행위는 사용자들이 "정보가 적게 활용되더라도 맞춤형 광고 서비스에 상응한 혜택을 볼 수 있는" 옵션이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메타는 집행위가 최종 결정을 내리기 전까지 관련 지적 사항을 수정하지 않으면 막대한 과징금을 물어야 한다.
DMA에 따르면 이 경우 전 세계 연간 매출의 최대 10%를 과징금으로 내야 한다. 또 위반 사례가 반복되면 과징금 한도가 20%로 높아진다.
한편 EU 집행위는 지난달 24일에는 애플, 하루 뒤인 25일에는 MS가 DMA를 위반했다는 예비 결론을 내린 바 있다. 최종 결정이 이뤄지면 애플, MS, 메타 각각 전 세계 연간 매출의 최대 10%를 과징금으로 내야 한다. 최종 결정 시한은 애플이 내년 3월 25일이다. 애플에 이어 MS, 메타가 각각 비슷한 시기에 과징금 폭탄을 맞을 위험이 높아졌다.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