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15 (일)

"그 로고는 아닌데 싸고 좋아"…불황 중국서 뜨는 '핑티' 소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국 선전에 사는 주식 애널리스트 딩 샤오잉은 최근 증시 부진으로 연간 보너스가 절반으로 줄자 소비 방식을 바꿨다. 예전엔 큰 고민 없이 명품 매장에 들어가 옷을 샀다면 이젠 온라인에서 비슷한 디자인을 고르는 식이다. 최근엔 보테가베네타를 본딴 디자인의 셔츠를 찾아 구입했다. 그는 "옷장이 점점 브랜드 없는 옷으로 채워지고 있지만 품질은 브랜드 못지 않다"고 만족감을 표했다.

머니투데이

29일 중국 베이징에서 한 여성이 휴대폰을 보면서 쇼핑몰 앞을 지나가고 있다./AFPBBNews=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국의 경기 둔화가 길어지면서 젊은층을 중심으로 '핑티'(平替)가 새로운 소비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다고 블룸버그가 3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핑티는 '가성비 대체품'을 의미하는 신조어다. 주로 품질이 좋고 가격이 비싼 명품과 달리 품질은 좋지만 가격이 훨씬 저렴한 제품을 일컫는다. 브랜드보다 실용성과 가성비를 추구하는 소비관의 변화를 보여준다.

핑티는 유명 브랜드를 모방해 만들어졌더라도 로고까지 그대로 베껴서 명품으로 착각하게 만들려는 '짝퉁'과는 차이가 있다. 예컨대 일본 SK-II의 페이셜 트리트먼트 에센스 330㎜ 제품은 1700위안(약 32만원)에 달하지만, 비슷한 성분을 함유한 현지 브랜드 찬도가 내놓은 핑티 에센스 가격은 569위안(약 10만원)이다. 1/3 가격이지만 싸구려 제품이 아니다. 핑티 패션 브랜드 시크조크(Chicjuc)는 프라다에 공급되는 이탈리아 원단으로 만들었다며 헤링본 트위드 코트를 3200위안(약 60만원)에 판매한다.

핑티의 부상은 중국의 제조업 발달로 수입품을 국산 대체품으로 전환하기 쉬운 환경과 경기 침체와 고용 불안으로 가성비를 따지는 젊은층의 필요가 맞아떨어져 생긴 결과란 분석이 나온다.

핑티 브랜드 매출도 급증세다. 데이터분석업체 항저우지이테크놀로지에 따르면 올해 7월까지 앞선 1년 동안 중국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시크조크와 바일란(주얼리) 등 일부 핑티 브랜드들은 두 자릿수에서 세 자릿수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시크조크는 타오바오에서 연간 약 10억위안의 매출을 올린 것으로 집계됐다.

머니투데이

메종마르지엘라의 약 52만원짜리 반지(왼쪽)와 중국 현지 업체 수드로브(Sudrov)가 판매하는 369위안(약 7만원)짜리 유사 디자인 반지 /사진=타오바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국 소비자들에게 핑티 구입은 숨길 일이 아니다. 온라인에선 핑티 아이템을 찾아내고 명품과 가장 비슷한 핑티를 공유하는 게시물이 쏟아진다. 핑티 아이템의 품질과 가격대를 홍보하는 라이브 쇼핑 영상이 잇따르고 같은 물건을 주문하려는 소비자들이 몰려든다. 투미, 마이클코어스 등 글로벌 명품업체에 가방을 납품하던 중국 핸드백 제조사 시토이도 최근 둥관 공장 건물을 이커머스 쇼룸으로 탈바꿈하며 핑티 출시를 위한 준비에 나섰다.

이런 추세는 현지 업체들이 수십년 동안 명품의 저렴한 대체품을 판매하면서도 중산층 쇼핑객에게 모조품을 판다고 조롱받던 것과 달라진 상황이라고 블룸버그는 짚었다. 소비자 추세 분석업체 민텔의 블레어 장 수석 애널리스트는 "명품 로고가 개인의 명성을 상징한다는 전통적 사고방식이 젊은이들에게 더는 통하지 않고 있다"며 "저렴한 대안이 무엇인지를 두고 활발한 논의가 이뤄지면서 합리적 소비 결정으로 이동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블룸버그는 핑티의 부상으로 중국 시장 의존도가 높은 글로벌 유명 브랜드들의 타격이 가장 클 것으로 봤다. 실제로 핑티 브랜드 매출이 급증하는 동안 루이뷔통모에헤네시(LVMH)와 버버리, 나이키 등 유명 브랜드들은 일제히 중국 시장 부진을 보고했다. 컨설팅업체 야옥그룹은 이달 보고서에서 유사 제품이 하이엔드 제품이 가진 독점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이런 추세는 향후 중국 시장에서 브랜드 성장에 타격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윤세미 기자 spring3@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