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의원들은 정부가 딥페이크 성착취물이 유통되는 플랫폼에 대한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4일 국회 여성가족위원회는 전체회의를 열고 딥페이크 성범죄 관련 긴급 현안질의를 진행했다. 김남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날 "최근 이슈가 된 주요 성착취물 사건을 구글에 검색하니 아직까지 피해 영상을 볼 수 있는 사이트가 우후죽순 나왔다"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과 방송통신위원회는 구글 같은 부가통신사업자에게 불법 촬영물 유통 관련 조치를 할 수 있는데, 기업에 과징금을 물린 사례는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최근 4년 반 동안 여성가족부에 접수된 불법 촬영물 삭제 요청 건수(94만건)의 29%인 27만건이 삭제되지 못했다. 여가부는 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를 통해 불법 촬영물 삭제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정부가 플랫폼 기업에 삭제를 강제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신유경 기자]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