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정보위 전체회의에서 보고
국정원은 이날 국회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북한의 7차 핵실험 여부에 대해 “미국 대선을 앞두고 할 가능성이 있지만,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인공위성 발사 등 다양한 군사적 도발 수단이 있어서 미국 대선 이전보다는 이후가 될 수 있다”고 보고했다고 국민의힘 이성권, 더불어민주당 박선원 의원이 전했다.
조태용 국가정보원장(가운데)이 26일 국회에서 열린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현안질의에 대한 답변을 준비하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국정원은 북한의 핵 능력과 관련해 두 자릿수 이상의 핵무기를 만들 수 있는 플루토늄 약 70㎏, 고농축 우라늄 상당량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했다.
북한이 지난 13일 핵탄두를 만드는데 쓰이는 고농축 우라늄(HEU) 제조시설을 처음으로 공개한 의도에 대해선 “대외적으로는 미국 대선을 앞두고 미국을 의식한 행위라는 측면과, 대내적으로는 경제 상황이 아주 안 좋기에 주민에게 자신감을 고취하기 위한 행위로 해석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해당 시설의 위치가) 과거 여러 사례를 볼 때 강선일 가능성이 높다”면서도 “확정적으로 답변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북한이 우라늄 농축 활동 가속화 움직임을 보이는 가운데 영변의 또다른 원자로 가동 여부도 계속 감시∙주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지난 13일 북한 조선중앙통신이 공개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핵물질 생산시설을 현지지도하는 모습. 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당시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우라늄 농축 기지를 둘러보며 “정말 이곳은 보기만 해도 힘이 난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그러면서 원심분리기가 빽빽이 들어선 핵물질 생산시설을 공개했지만, 구체적인 지역은 밝히지 않았다.
‘강선’은 2019년 ‘하노이 노딜’ 당시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북한 핵시설이 은폐된 곳으로 지목하며 폐기를 요구했던 곳으로, 당시 북한은 이곳의 존재를 부인하며 꽁꽁 숨겼다.
국정원은 북한이 지난 18일 신형전술탄도미사일을 시험발사한 것에 대해선 “정밀 타격 능력을 검증하려는 목적으로, 2발 발사했는데 그중 1발이 표적지에 도달했고 과거보다 조금 개선됐다”며 “고중량 탄두의 미사일 내지 발사체가 탄착지점에 도달함으로써 대한민국 안보위협이 증대되고 있다”고 밝혔다.
국정원은 윤석열 대통령이 ‘통일하지 말자’며 ‘두 국가론’을 주장한 임종석 전 대통령비서실장에 대해 ‘반헌법적 발상’이라고 비판한 것과 관련해선 “대통령 입장에 한 치의 이견이 없다”고 말했다.
이현미 기자 engine@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