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프라임 오피스 시장
평균 임대료 상승률 5%
평균 임대료 상승률 5%
플라이크 은평 투시도 [사진 = 현대엔지니어링]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 오피스 시장의 양극화가 두드러지고 있다. 대형 오피스빌딩, 특히 프라임 오피스에 대한 투자 수요는 강세를 보이는 반면, 중소형 오피스빌딩은 공실률 증가와 임대료 상승 둔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
12일 오피스 업계에 따르면 프라임 오피스는 다양한 인프라를 구비한 연면적 3만3000㎡ 이상의 대형 오피스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주요 도심 업무지구 내 역세권에 위치해 우량 임차인 확보에 유리하고, 중소형 오피스에 비해 높은 임대료 상승률을 보이는 경우도 많다.
실제 세빌스코리아에서 발표한 자료를 보면 올해 2분기 서울 프라임 오피스의 평균 임대료는 전년 동기 대비 약 5.7% 상승했다. 강남업무지구와 여의도 업무지구의 6% 이상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는 6월 기준 소비자물가 상승률(2.4%)을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실제 올해 5월 기준 연면적 9900㎡ 미만 소형 오피스의 공실률은 5.4%(알스퀘어 자료)로, 작년 4분기보다 1.4%포인트 늘어났다. 전체 오피스 공실률(2.4%)의 2.5배 수준이다. 반면 연면적 6만6000㎡ 이상의 프라임급 오피스의 공실률은 0.9%에 불과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이같은 상황으로 인해 개인 투자자들이 분양을 통해 프라임 오피스 직접 투자에 나서는 요인이 되고 있다”면서 “주식이나 채권과 같은 변동성이 큰 자산보다 안전성이 강한 프라임 오피스를 포트폴리오에 포함함으로써, 투자 리스크를 분산시키고 보다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현대엔지니어링이 서울 은평구에서 프라임 오피스 ‘플라이크 은평’를 공급 중이다. 이 복합시설은 지하 4층~지상 20층, 연면적 약 7만5000㎡ 규모로 조성된다. 프리미엄 오피스 447실과 섹션 오피스 190실 등 업무시설 637실과 상업시설 119실, 숙박시설 288실로 구성된다.
단지 앞 지하철 3호선 구파발역을 이용해 종로, 강남 등 주요 업무지구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고 특히, GTX A 노선까지 개통하면 직주근접성은 더욱 좋아질 것으로 보인다. 외곽순환도로 통일로IC도 인접해 여의도나 상암DMC로의 이동여건이 좋고 CBD(도심업무권역) 접근성이 크게 향상시킬 은평구 불광동과 종로구 자하문로 잇는 은평새길도 개통을 앞두고 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