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19 (토)

“통장에 200억 입금” 아프리카TV의 새출발…나락간 이미지 회복될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가수 겸 배우 배수지가 노래를 부르고 있는 모습. [사진 = KBS 예능프로그램 ‘나라는 가수’ 갈무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최근 콘텐츠시장에 새로운 플랫폼 ‘숲(SOOP)’이 등장했다. 누구나 알고 있는 연예인 소속사가 아니다. 바로 인터넷개인방송플랫폼 아프리카TV다. 아프리카TV가 사명을 바꾸고 새 출발을 선언했다. 수많은 논란에 휘말려 추락한 시장 신뢰를 회복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다.

19일 플랫폼업계에 따르면 아프리카TV는 회사명과 플랫폼명을 모두 숲으로 변경했다. 모든 구성 요소를 아우르는 푸르른 산림처럼, 언제 어디서나 누구든 콘텐츠로 소통할 수 있는 자유로운 공간이라는 뜻이다.

이와 함께 인터넷방송인(BJ)이라는 명칭도 스트리머로 변경했다. 아프리카페이는 숲페이, 방송국은 채널이 됐다. 다만 현금성 아이템인 별풍선은 유지했다. 개당 110원에 구매할 수 있는 부분도 기존과 같다.

아프리카TV의 법인명 변경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앞서 지난 2006년 W플레이어에서 아프리카TV로 리브랜딩을 진행했다. 하지만 개국 초기부터 비판을 받은 선정성 및 사행성 콘텐츠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다. 그런 상태에서 18년 만에 또다시 사명을 숲으로 바꾸고 사용자경험(UX)과 사용자인터페이스(UI)를 개편한 것이다.

아프리카TV의 이미지 쇄신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박충권 국민의힘 의원실에 따르면 아프리카TV는 지난해 별풍선을 가장 많이 받은 10명의 BJ에게 총 656억원을 지급했다. BJ커맨더지코가 별풍선 3억개를 쓸어모으며 1위를 차지했다. 수수료를 제외한 환전액은 200억원이었다.

BJ 10명 중 9명이 엑셀방송을 진행해 막대한 수익을 올렸다. 엑셀방송이란 별풍선 후원 내역을 실시간으로 엑셀 문서처럼 정리해 공개하는 방송이다. 주로 남성 호스트가 여성 게스트를 집단으로 불러 춤을 추게 하거나 노출을 유도하며 후원 경쟁을 부추긴다. 이외에도 아프리카TV가 성매매, 사기, 마약 투여 등 범죄의 온상이라는 폭로가 이어지고 있다.

매일경제

아프리카TV에서 BJ커맨더지코가 엑셀방송을 진행하고 있는 모습. 왼쪽 하단에 참여자들의 이름과 별풍선 후원 내역이 순위에 따라 정리돼 있다. [사진 = 온라인 커뮤니티 갈무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에 배우 전도연, 공유, 김재욱, 공효진, 배수지, 남주혁 등이 소속된 숲엔터테인먼트가 소송을 제기하기도 했다. 회사명이 같아 숲엔터테인먼트의 이미지 훼손이 우려된다는 이유에서다. 그러나 서울중앙지법 민사합의60부(임해지 부장판사)는 사업의 성격이 달라 혼동할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판단해 숲엔터인먼트가 낸 상표권 침해금지 가처분 사건을 기각했다.

아프리카TV는 플랫폼 운영·관리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입장이다. 아프리카TV는 만 14세 미만 청소년들이 방송에 참여할 수 없도록 규제 중이다. 또 24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운영 정책에 어긋나는 콘텐츠를 제재하고 있다. 특히 성기를 노출하거나 성관계를 하는 행위나 음란물 유포하고 홍보하는 행위 등을 적발할 경우 영구정지에 이르는 조처를 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아프리카TV가 실효성 있는 대책을 내놔야 한다고 지적했다. 주식시장에 상장까지 돼 있는 아프리카TV가 경제적 이익을 위해, 벗는 방송이나 엑셀 방송과 같은 저질의 콘텐츠 확산을 묵인하고 일탈을 저지르는 BJ들의 퇴출에 적극적이지 않은 태도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복수의 대중문화평론업계 관계자는 “포맷 자체가 폐기돼야 하는 방송이 많은데 아프리카TV가 제대로 된 플랫폼의 역할을 해내지 못하고 있다”며 “이름을 변경한다고 해서 부정적인 인식이 사라지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치권에서도 아프리카TV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정찬용 아프리카TV 대표이사는 오는 24일 과학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한다. BJ들이 저지른 사건·사고, 사행성 유도 및 청소년 도박, 유해한 콘텐츠 양산 등과 관련된 질문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