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23 (수)

뽕나무 추출물서 신규 항암물질 개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성낙균 생명연구원 박사 연구팀

암세포 성장막는 ‘MO-2097’ 발굴

헤럴드경제

국내 연구진이 천연물 기반의 낮은 독성으로 항암치료에 따른 신체적 부담을 최소화하는 새로운 치료전략을 제시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성낙균(사진) 화학생물연구센터 박사 연구팀은 이경 동국대 약학대학 교수 연구팀과 함께 우리나라 자생식물인 뽕나무 뿌리 추출물에서 고형암이 저산소 상황에서도 생장할 수 있게 하는 단백질을 제어하는 신규 항암물질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23일 밝혔다.

암의 70~80%를 차지하는 고형암은 단단한 형태의 악성 종양으로 폐, 간, 대장 등 여러 신체 장기에서 발병한다. 고형암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종종 암의 중심부에 혈관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아 산소 공급이 부족해지며, 이로 인해 저산소증이 발생한다.

저산소 상황에 노출을 때 일반 세포의 상당수가 이에 적응하지 못하고 사멸하는 데 반해 종양 세포는 저산소 상태에서도 성장하는데 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HIF-1α 단백질이다.

HIF 단백질은 산소가 충분할 때는 체내에서 분해되지만, 저산소 환경에서는 분해되지 못하고 농도가 높아진다. 고형암에 산소 공급이 부족해지면 HIF-1α 단백질이 과다 발현하며 사멸을 막아준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항암 표적 단백질로서 HIF-1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연구팀은 뽕나무 뿌리 추출물 모라신-오(Moracin-O)에서 HIF-1α 단백질의 발현을 조절하는 효과를 확인하고 이를 활용한 신규 항암물질 ‘MO-2097’을 발굴했다.

연구팀은 이전 연구에서 HIF-1α의 발현을 조절하는 인자로 hnRNPA2B1이라는 단백질을 발견했다. 이후 다양한 천연물에서 HIF-1α의 억제 가능성을 살펴 모라신-오 구조를 기반으로 새롭게 개발한 물질 MO-2097이 hnRNPA2B1과 결합해 HIF-1α를 감소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번에 개발한 MO-2097는 3D 스페로이드 모델과 대장암 환자 유래 오가노이드 모델에서 항암 효과를 나타냈을 뿐만 아니라 제브라피시, 마우스 등 동물모델에서는 낮은 독성을 나타내며 새로운 치료물질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높였다.

성 박사는 “MO-2097은 암세포에는 효과적으로 작용하면서도 정상 세포에 대한 독성이 적다는 점이 고무적”이라며 “HIF-1α를 타겟으로 하는 항암제 연구를 위한 새로운 파이프라인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저널 오브 어드밴스드 리서치’ 10월호에 게재됐다. 구본혁 기자

nbgkoo@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