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24 (목)

수출 마저 '주춤'…3분기 GDP 0.1% 성장 '쇼크'(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은, 연간 성장률 전망치 수정 불가피

머니투데이

부산 남구 신선대부두에서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작업이 진행되고 있다./사진제공=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 3분기 우리나라의 실질 GDP(국내총생산)가 전기 대비 0.1% 성장했다. 지난 2분기(-0.2%) 역성장 쇼크를 간신히 벗어났지만 사실상 제자리걸음이다. 민간소비와 설비투자를 중심으로 내수가 회복세를 보였지만 우리 경제를 나홀로 이끌던 수출이 예상보다 부진했던 영향이다.

당초 예상했던 0.5% 성장률에 크게 못미친 '성장 쇼크'에 한국은행이 당초 제시한 연간 성장률 전망치(2.4%) 수정도 불가피해졌다는 분석이다.

24일 한은이 발표한 '2024년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 속보치에 따르면 지난 3분기 실질 GDP는 전 분기 대비 0.1% 성장했다. 전년 동기보다는 1.5% 성장했다.

분기별 경제성장률 추이를 살펴보면 코로나19(COVID-19) 초기인 2020년 1분기(-1.3%)와 2분기(-3.0%)는 역성장을 기록했다. 이어 같은해 3분기(2.3%) 상승 전환했다. 이후 2020년 4분기(1.2%)부터 2022년 3분기(0.3%)까지 9분기 연속 플러스(+) 성장세를 유지했다.

하지만 수출 부진에 민간소비까지 위축되며 2022년 4분기(-0.5%) 역성장을 기록했다 지낸해 1분기부터 올해 1분기까지 5분기 연속 플러스(+)성장세를 유지했다. 특히 지난 1분기엔 1.3% '깜짝 성장'을 기록하기도 했다. 하지만 지난 2분기엔 1분기 깜짝성장의 기저효과와 내수 부진 등 영향으로 역성장(-0.2%)했다.

3분기 성장률을 부문별로 살펴보면 민간소비는 재화(승용차, 통신기기 등) 및 서비스(의료, 운수 등) 소비가 늘며 0.5% 증가했다. 정부소비는 건강보험급여비와 같은 사회보장현물수혜를 중심으로 0.6% 늘었다.

건설투자는 건물건설과 토목건설이 모두 줄어 2.8% 감소했다. 지난해 4분기(-3.8%)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반면 설비투자는 기계류(반도체 제조용장비 등)와 운송장비(항공기 등)가 모두 늘어 6.9% 증가했다. 3분기 설비투자 성장률은 2021년 1분기(8.7%) 이후 14분기 만에 가장 높은 성장률이다.

수출은 자동차, 화학제품 등을 중심으로 0.4% 감소했다. 2022년 4분기(-3.7%) 이후 7분기 만에 마이너스 수출이다.

수입은 기계 및 장비 등이 늘어 1.5% 증가했다.

이에 따라 3분기 성장률에서 순수출 기여도는 -0.8%p(포인트)를 기록했다. 순수출이 우리나라 3분기 성장률을 0.8%p 끌어내렸다는 의미다.

반대로 내수의 성장 기여도는 0.9%p로 나타났다. 지난 2분기 성장을 가로 막았던 내수(기여도 -0.1%p)가 3분기 들어 회복세를 보인 것이다.

다만 내수 부문별 온도차는 여전했다. 민간소비(+0.2%p)와 정부소비(+0.1%p), 설비투자(+0.6%p)가 플러스 기여한 반면 건설투자(-0.4%p)는 3분기 성장률을 갉아 먹었다.

주체별 기여도를 보면 민간이 -0.4%p를 기록하며 2분기 연속 마이너스 기여도를 보였다. 정부 기여도는 0%p에서 0.5%p로 높아졌다.

경제활동별로는 전기가스수도업이 전기업을 중심으로 5.1% 증가했다. 농림어업도 축산업 등을 중심으로 3.4% 성장했다. 제조업은 운송장비, 기계 및 장비 등을 중심으로 0.2% 증가했다. 서비스업도 의료,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운수업 등이 늘어 0.2% 성장했다.

반면 건설업은 건물건설을 중심으로 0.7% 감소했다.

한편 3분기 성장률은 한은이 지난 8월 경제전망 당시 처음 공개한 분기 성장률 전망치에 크게 못미치는 수준이다. 한은은 당시 올해 3분기 전기 대비 0.5% 성장을 전망했다. 하지만 뚜껑을 열어보니 0.1% 성장에 그치면서 한은 전망에서 크게 어긋났다.

분기 전망이 틀어지면서 한은의 연간 성장률 전망치 수정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한은은 "2024~2025년 연간성장률과 관련된 불확실성이 커졌다"며 "내수 회복 속도, 주요국 경기 및 IT(정보기술) 사이클, 글로벌 교역조건 변화 등을 면밀히 점검해 다음달 경제전망 때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세종=박광범 기자 socool@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