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27 (일)

[美 선택 2024] 해리스냐, 트럼프냐…열흘 남은 결정의 순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미국의 첫 여성 대통령 탄생이냐,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한 '트럼피즘'의 부활이냐. 불과 열흘 앞으로 다가온 11·5 미국 대통령 선거는 누가 이기든 미국사의 중대 전환점이 될 것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주요 여론조사에서 초접전 박빙 구도를 이어가고 있는 민주당 후보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과 공화당 후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중 과연 누가 차기 미국 대통령이 될 것인지에 전 세계의 눈이 쏠리고 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출처=A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막판까지 초접전 구도...매직넘버 270 시나리오 보니
미국 대선은 총득표수가 아니라 각 주(州) 선거 결과에 따라 확보한 선거인단 수로 대통령이 결정된다. 총 538명의 선거인당 중 과반인 270명을 확보해야만 승리한다. 각 당 지지세가 뚜렷한 주들을 제외한 이른바 '스윙스테이트(경합주)' 7곳의 선거인단 93명이 선거 결과를 좌우하는 구조다. 현지 언론들의 승패 시나리오 전망도 이들 경합주 선거인단이 어떻게 쪼개지느냐에 따라 나오고 있다. 해리스 부통령과 트럼프 전 대통령이 선거 막판 경합주 중심으로 집중적으로 유세에 나서고 있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특히 올해 대선은 주요 여론조사에서 두 후보 간 지지율이 오차범위 내에서 엎치락뒤치락하는 초접전 구도로 이어지고 있다. CNN방송은 어느 후보도 5%포인트 이상 확실하게 앞서지 못한 대선은 60년 만에 처음이라고 주목했다.

이러한 접전은 경합주 내에서도 뚜렷하게 확인된다. 어느 기관이 언제 여론조사를 진행했느냐에 따라 같은 주에서도 결과가 엇갈린다. '경합주 중의 경합주'로 분류되는 펜실베이니아의 경우 최근 에머슨대 여론조사에서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49% 지지율로 1%포인트 앞섰지만, 같은 날 공개된 블룸버그통신 조사에서는 해리스 부통령이 50%로 1.8%포인트 우위를 나타냈다. 그만큼 선거 막판까지도 결과를 예측하기 어려운 구도인 셈이다. 이는 결국 이번 대선 결과가 아직 마음을 정하지 않은 소수 유권자에 의해 결정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시사한다.

의회전문매체 더힐을 비롯한 현지 언론들은 해리스 부통령이 승리할 수 있는 가장 쉬운 시나리오로 미시간, 펜실베이니아, 위스콘신 등 중서부 '블루월' 3개주를 잡는 것이라고 제시하고 있다. 블루월은 1992년부터 2012년까지 민주당이 승리해온 18개주를 가리킨다. 애리조나, 조지아, 네바다, 노스캐롤라이나 등 선벨트 접전지역에서 해리스 부통령이 패하더라도, 조 바이든 대통령이 승리했던 다른 주들과 함께 이들 주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을 누른다면, 해리스 부통령은 정확히 선거인단 270명 매직넘버를 확보할 수 있다. 이 경우 트럼프 전 대통령은 268명 확보에 그친다.

이는 경합주 중에서도 가장 많은 선거인단을 갖고 있는 펜실베이니아를 놓칠 경우, 타격이 클 수 있음을 뜻한다. 반면 트럼프 전 대통령으로선 펜실베이니아를 차지하면 상대적으로 다른 주에서의 선거인단 확보 부담이 낮아진다. 선벨트 4개 경합주 중 조지아, 노스캐롤라이나에서만 승리해도 매직넘버 270 달성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선벨트 경합주들은 통상 공화당 지지세가 강하며 그간 여론조사에서도 트럼프 전 대통령이 근소하게 우위를 나타내온 지역들이다. 펜실베이니아를 놓치더라도 노스캐롤라이나, 조지아, 애리조나주 외에 다른 러스트벨트 경합주 한 곳만 잡아도 트럼프 전 대통령이 270명을 확보할 수 있다.

현지에서는 2016년 대선처럼 민주당 후보가 전국 득표에서 앞서고도 선거인단 수에서 밀려 낙선할 수 있다는 시나리오도 제기된다. 최근 해리스 부통령이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부터 인기가수 비욘세까지 자신을 지지하는 거물, 스타들을 총출동시켜 대대적 유세를 펼치고 있는 배경이 이와 무관하지 않다. 트럼프 전 대통령을 히틀러에 빗대 파시스트 공세를 펼치는 이유도 같은 맥락이다. 선거 막판까지 표심을 정하지 않은 부동층, 트럼프 전 대통령에 불신을 갖고 있는 보수 유권자층을 적극적으로 겨냥한 행보인 셈이다.

해리스 이기면 첫 女대통령, 트럼프 승리 시 트럼피즘 강화
이번 대선에서 해리스 부통령이 승리할 경우 8년 전 민주당 대선후보였던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부 장관이 트럼프 전 대통령에 막혀 이루지 못한 미국 첫 여성 대통령 탄생의 역사를 쓰게 된다. 미 최초의 흑인·아시아계 여성 대통령의 탄생이기도 하다. 1964년 캘리포니아에서 아프리카계 자메이카 이민자 출신 아버지와 인도 이민자 출신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해리스 부통령은 인종적으로 흑인이자 아시아계로 분류된다.

이 경우 정책 면에서는 조 바이든 행정부의 기조를 대체로 이어갈 전망이다. 미국 중산층 강화를 위한 '기회 경제'를 중심으로 한 경제 공약, 연방 정부 차원의 낙태 합법화, 학자금 대출 탕감, 부자 증세 등이 골자다. 대외적으로는 동맹을 중시하는 기조도 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해리스 부통령은 바이든 행정부의 2인자인 자신이 집권할 경우 기존과 동일한 정권의 연장이 될 수 있다는 우려에 공개적으로 선을 긋고 있다. 그는 검사 출신인 자신의 경력 대부분이 워싱턴D.C.에 기반을 두지 않았다는 사실을 언급하며 집권 시 공화당, 재계의 의견까지 수렴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반면 트럼프 전 대통령이 승리해 2기 행정부를 출범할 경우 앞서 1기에서 완성하지 못했던 '트럼피즘'의 강화가 뒤따를 전망이다. 이미 트럼프 전 대통령은 고율 관세, 제조업 국내 유턴 등으로 대표되는 보호무역주의 강화를 예고해온 상태다. 뉴욕타임스(NYT)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승리할 경우 차기 행정부 중심은 우익 싱크탱크 '미국우선정책연구소(AFPI)'가 될 것이라며 이미 재집권에 대비한 행정명령 초안을 300개 가까이 작성한 상태라고 최근 보도했다. 이 매체는 "프로젝트 2025 정책집보다 얇지만, 더 강력한 트럼피즘을 담고 있다"면서 대표적인 예로 약물 사용을 포함한 낙태 전 초음파 검사 의무화, 석유 생산 확대, 파리기후협정 탈퇴, 메디케어 수혜자에 근로 요건 부과, 두 가지 성별만 법적으로 인정하는 것 등을 꼽았다.

물론 두 사람 사이의 정책 교집합도 있다. 누가 당선되든 보호무역주의는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다. 반중국 정서도 이어질 전망이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재집권시 대중국 초고율 관세 부과를 예고한 상태며, 해리스 부통령이 취임하더라도 조 바이든 대통령이 추진해온 첨단기술 측면에서의 반중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첨단 기술패권을 사수하기 위한 반중국 움직임은 앞으로 더 심화할 가능성이 크다. 패권은 물론, 국가안보와 직결됐다고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