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1.03 (금)

‘5년 생존율’ 76% vs 53%… 가격 착해야 살아남는다 [통계로 보는 행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정부가 지정하는 ‘착한가격업소’가 일반 업소보다 생존율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착한가격업소 10곳 중 7곳은 1년 사이 매출액이 증가하는 등 고물가시대에 저렴한 가격이 생존 경쟁력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세계일보

서울 영등포구 한 가정식백반식당에 착한가격업소 지정 인증마크가 붙어있다.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일 한국지방행정연구원의 ‘착한가격업소 활성화 방안 연구’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전국의 착한가격업소는 총 7172곳이다. 서울 1076곳, 경기 828곳, 부산 647곳 등의 순으로 많았다.

서울시 소재 업소를 대상으로 개업일부터 폐업일을 기준으로 생존율을 분석한 결과 착한가격업소와 일반업소의 1년 생존율은 93.49%, 88.55%로 4.94% 차이가 났다. 이후 2년 생존율 90.15%대 79.29%(10.86% 차이), 3년 생존율 86.52%대 69.34%(17.18% 차이), 4년 생존율 82.25%대 61.77%(20.48% 차이)로 점점 격차가 벌어졌고 5년 생존율은 76.58%대 53.46%로 23.12%까지 벌어졌다. 착한가격업소가 일반업소에 비해 장기적으로 생존에 유리하다는 게 수치로 증명된 셈이다.

매출 증대 효과도 관측됐다. 2022년보다 지난해 매출액이 증가한 업소의 비중은 68.9%로 나타났다. 4410개 업소가 평균 매출액 2813만9917원이 증가했다.

지난해 말 기준 착한가격업소와 일반업소의 8개 품목(냉면, 비빔밥, 김치찌개 백반, 삼겹살, 자장면, 삼계탕, 칼국수, 김밥) 평균 외식물가를 비교해보면 착한가격업소가 일반업소보다 19.06% 저렴했다.

가장 차이가 크게 나는 품목은 냉면이었다. 착한가격업소 평균 가격은 6804원으로 일반업소 가격 9870원보다 3066원 저렴했다. 이어 삼계탕은 2672원(일반업소 1만5810원, 착한가격업소 1만3138원), 삼겹살 2339원(일반업소 1만3728원, 착한가격업소 1만1389원) 등 순으로 격차가 났다. 대부분 착한가격 지정업소의 물가수준이 낮고, 최대 12년 전 수준까지도 유지되고 있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세계일보

서울 중구 명동거리의 한 음식점 앞에서 식당 관계자가 잠시 휴식을 취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착한가격업소는 행정안전부와 지방자치단체가 2011년부터 물가안정 등을 위해 지정·운영해온 제도이다. 가격, 위생·청결도, 품질 서비스, 공공성을 기준으로 선정되며 서민들의 이용률이 높은 외식업, 이·미용업, 세탁업 등 개인 서비스업이 선정 대상이다. 영업자가 직접 신청하거나, 소비자 추천을 받은 업체 중 심사를 통해 최종적으로 지정된다.

행안부는 착한가격업소 지정 및 관리 지침 제공을 통해 지자체의 착한 가격업소 운영 업무를 지원한다. 지난해부터는 국비를 마련해 업소당 평균 85만원을 지원했다. 올해엔 예산을 18억원으로 확대했다. 지자체는 착한가격업소를 지정하고, 상·하수도 요금 감면과 같은 공공요금 지원과 종량제 봉투 등 물품 지원을 제공한다.

연구진은 “착한가격업소의 활성화를 위해 지자체가 자체적인 지원을 하고 있으나, 법적 지원 근거가 없어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지원을 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며 “행안부가 안정적인 지원 근거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구윤모 기자 iamkym@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