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UPI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뉴욕증시 3대 주가지수가 혼조로 마감했다. ‘트럼프 랠리’ 열기가 한풀 꺾인 상황에서 시장을 움직일 만한 재료가 없자 투자자들은 가격 조정을 이어가는 분위기였다.
18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55.39포인트(0.13%) 내린 4만3389.60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23.00포인트(0.39%) 오른 5893.62, 나스닥종합지수는 111.69포인트(0.60%) 상승한 1만8791.81에 장을 마쳤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던진 매파적 발언의 여진 속에 S&P500과 나스닥 지수는 반등에 나섰고 다우지수는 하락세를 조금 더 이어 나갔다.
앞서 지난주 공개 발언에서 파월이 금리인하를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밝히면서 통화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확대됐다. 지난 9월 ‘빅 컷(50bp 금리인하)’으로 기조전환을 시작했으나 불과 두 달 만에 속도 조절을 시사하면서 연준에 대한 신뢰도 약해졌고 주가 방향성도 흔들린다는 풀이다.
이날 주가지수가 소폭 반등에 그친 배경에 대해 재무부 장관을 둘러싼 불협화음이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에버코어ISI는 이날 투자 메모에서 “우리는 재무부 장관 선임을 둘러싼 우려가 파월의 매파적 발언만큼이나 지난주 시장 약세를 주도한 재료라고 보고 있다”며 “이는 시장에서 불안감을 자극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오는 20일 엔비디아의 3분기(8월~10월) 실적 발표를 앞두고 기술주는 전반적으로 강세를 보였다. 거대 기술기업 7곳(M7) 중 애플과 알파벳,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모두 올랐다.
테슬라는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자율주행차량에 대한 규제를 완화할 것이라는 기대에 5.6% 상승했다. 반면 엔비디아는 차세대 주력 인공지능(AI) 반도체 ‘블랙웰’이 발열 문제를 겪고 있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투자심리가 약해졌고 1.3% 하락했다.
회계 부정 의혹으로 상장 폐지 위기에까지 몰렸던 서버 제조업체 슈퍼마이크로컴퓨터는 ‘나스닥 상장 폐지를 피하기 위해 연례 보고서를 제출할 계획’이라는 보도가 나오며 주가가 16%가량 급등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