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당부채 상 667억 불과…올해는 1억만 쌓아"
최근 3분기 성적표를 내놓은 영풍이 실적 부진 이유로 환경개선 투자 비용이 컸던 영향이라고 설명하면서 이를 둘러싼 진실공방으로 이어지고 있다. 영풍은 매년 1000억원에 달하는 환경개선 투자에 나서고 있다고 강조했지만 그 규모가 실제보다 부풀려졌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그래픽=비즈워치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0일 업계에 따르면 영풍은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6567억원의 매출을 기록, 전년 동기 대비 38% 급감했다. 영업이익도 179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올해 3분기 말 공장 가동률은 53.4%로 역대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에 대해 영풍은 "지난 2021년부터 약 7000억원 규모의 환경개선 혁신 계획을 수립해 매년 1000억원 이상 환경개선 사업에 투자하고 있다"며 "사업이 완료될 때까지 수치상으로 보이는 실적은 좋지 않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실적을 포기하고 환경 개선에 진심"이라며 "현재 저조한 실적은 조만간 사업이 완료되면 회복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일각에선 영풍의 사업보고서 내 '환경 개선 분야 충당부채 변화' 상으로는 2021년부터 환경 개선 사업에 매년 1000억원 이상씩 투자했다는 근거를 찾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충당부채는 지출 시기와 규모가 다소 달라질 수 있지만 지출 자체는 확정된 부채를 의미한다. 충당부채를 설정하면 비용이 증가하기 때문에 이익에 영향을 미친다.
영풍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환경 개선 투자와 관련해 충당부채로 비용 처리한 규모는 667억원으로 1000억원과는 큰 차이를 보였다. 영풍은 2020년 처음으로 토지 정화와 석포제련소 주변의 하천 복구를 위해 총 608억원의 충당부채를 설정했다. 사업보고서 기준으로 따지면 최근에 밝힌 시점(2021년)보다 한 해 앞서 환경 개선 사업에 투자금을 책정했다.
이후 환경오염물질 처리와 지하수 정화·복구 비용이 추가되면서 2021년 806억 , 2022년 1036억원, 2023년 853억원의 충당부채를 쌓았고 올해의 경우는 1억원만 추가로 설정했다. 이렇게 2020년부터 설정한 환경 개선 분야 충당부채는 총 3305억원으로, 연평균 661억원 규모다.
업계 관계자는 "과거와 비교해 환경 개선을 위한 충당부채를 지속해서 설정했다는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되지만, 최근 영풍이 밝힌 '매년 1000억원 이상'에는 크게 못 미치며 올해 추가로 설정한 충당부채는 1억원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환경 개선 사업에 대한 투자 때문에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적자로 전환됐다고 설명하기에는 새롭게 비용으로 반영된 환경 개선 충당부채 규모가 너무 작다는 설명이다. 아울러 "어떤 과정을 통해 환경 개선 사업비를 7000억원으로 책정했는지, 매년 어디에 쓰고 있고 효과는 무엇인지 궁금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영풍의 환경개선 작업을 두고 정치권에서도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지난달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임이자 국민의힘 의원실이 환경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석포제련소가 지난해 1월부터 올해 8월까지 처리한 제련 잔재물 비중은 전체 잔재물의 23.7%에 불과했다.
임 의원실 관계자는 "잔재물 처리 속도가 너무 느려, 내년 말까지 잔재물을 전부 처리할 수 있을지 우려된다"고 밝혔다. 지난 2022년 말 환경부는 석포제련소에 통합환경허가를 내주면서 2025년 말까지 제련 잔재물을 모두 처리할 것을 요구했다.
석포제련소는 최근 물환경보전법 위반으로 60일간의 조업정지에 이어 이달 초 대구지방환경청 수시 점검에서 황산가스 감지기를 끄고 조업을 한 사실이 적발돼 추가 제제 가능성이 주목받는 상태다.
ⓒ비즈니스워치(www.bizwatch.co.kr)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