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리포트]예금자보호한도 상향, 역풍 온다②
정기예금 1년 만기 평균금리 및 4000만~5000만원 구간 예금 비중/그래픽=김지영 |
예금 보호한도가 5000만원에서 1억원으로 증액되면 은행 예금이 저축은행으로 이동하는 '머니무브'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보호한도에 맞춰 금리가 더 높은 저축은행으로 예금을 옮기는 것이다. 저축은행 예금이 최대 40% 증가할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 예금보험공사가 국회에 제출한 '예금보험제도 개선 검토' 보고서를 살펴보면 예금자보호한도가 상향되면 은행에서 저축은행으로 자금이동이 발생해 저축은행의 예금이 일부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보호한도를 1억원으로 상향할 경우 저축은행 예금의 16~25%가 증가할 것으로 추산되며 최대 40% 늘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과거 저축은행 사태와 2금융권이라는 불안감 때문에 은행에 돈을 맡긴 고객이 높아지는 보호한도에 맞춰 금리가 더 높은 저축은행에 예금을 옮길 수 있다는 분석이다. 전날 기준 저축은행중앙회가 공시한 저축은행의 1년 만기 정기예금의 평균 금리는 3.50%로 은행권의 평균 금리보다 0.18%포인트(P) 높다.
특히 저축은행 예금자는 은행에 비해 보호한도 민감도가 높은 편이다. 저축은행의 예금분포를 보면 현 보호한도인 4000만~5000만원에 구간의 예금비중이 48.3%에 달한다. 은행은 같은 구간의 예금 비중이 2.86%인 것과 비교하면 매우 높은 수준이다.
과거 미국에서도 보호한도를 높인 후 저축은행 자산이 은행보다 더 많이 증가한 사례가 있다. 1980년대 보호한도를 4만달러에서 10만달러 상향한 후 3년간 저축은행의 자산이 56% 증가했다. 같은 기간 은행은 24% 늘어나는 데 그쳤다.
저축은행의 예금 잔액은 102조5680억원 수준으로 25% 늘어난다고 가정하면 머니무브 규모는 약 25조원이다. 단기간에 머니부브가 발생하면 은행권은 빠져나간 만큼 다른 방식으로 자금을 조달해야 한다. 금리를 높이는 식으로 대응할 수도 있다. 은행채 발행을 급격히 늘리면 금리 왜곡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한국은행 등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낮춤에도 시장금리가 올라 대출금리가 오르는 기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다만 국내 은행 예금 규모의 1.2% 수준으로 머니무브의 영향이 크지 않을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은행권은 현행 보호한도로 대부분의 예금자를 보호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5000만원으로 보호가 가능한 예금자 비율이 이미 98.1%에 이른다. 오히려 보호한도 상향의 편익이 소수(1.9%)의 5000만원 초과 예금자에게만 국한될 것이라고 지적한다.
실제 은행권은 예금 보호한도 상향 관련 TF(태스크포스)와 연구용역 과정 등에서 "현행 보호한도(5000만원)로 예금자의 98%가 보호되고 있어 한도 상향의 실익이 없다"는 의견을 전달했다.
또 모바일 등 비대면 거래가 증가하면서 5000만원씩 분산 예치하기도 쉬운 상태라 소비자의 편의가 크게 높아지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1인당 GDP(국내총생산) 대비 보호한도와 예금자별 보호예금 비중 수준도 이미 국제 권고 수준을 충족 중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예금보호한도 상향의 편익은 소수에게 돌아가고, 이에 따른 예금보호료 증가는 모두가 나눠 같은 구조가 된다"며 "저축은행 등 2금융권만 이득을 보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남이 기자 kimnami@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