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6 (화)

[김준형의 '청맹과니'] 사슴별곡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메트로신문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인도에서 전해지는 전설이다. 인도의 어느 숲에는 황금 사슴과 그가 거느린 오백여 마리의 무리가 있었다. 그런데 왕이 사슴 고기를 너무 좋아 해서, 날마다 사슴을 사냥했다. 사슴들은 불안에 떨면서 살아야 했다. 황금 사슴은 왕을 찾아갔다. 그리고 '사냥을 그만 두면, 우리가 순서를 정해서 매일 한 마리씩 목숨을 내 놓겠소.'라고 제안했다. 왕은 이에 동의 했다. 그런데 어느 날, 새끼를 밴 어미 사슴에게 순서가 돌아왔다. 황금사슴은 자신이 어미사슴을 대신하여 목숨을 내 놓겠다고 나섰다. 이 모습을 본 왕은 깊이 감동했다. 그리고 사슴들에게 '더 이상 사슴고기를 먹지 않고, 평화를 지켜주겠다.'고 약속했다.

중국의 하이난 섬에도 사슴에 관한 전설이 전해진다. 어느 날, 젊은 사냥꾼이 멋진 사슴을 발견하고 뒤를 쫓았다. 사냥꾼의 끈질긴 추적이 이어진 끝에, 사슴은 남쪽 끝의 절벽에 다다랐다. 더 이상 도망칠 곳이 없었던 사슴은 멈춰서 뒤를 돌아보았다. 그런데 사슴의 눈망울이 너무나도 맑고 애처로웠다. 차마 쏠 수 없었던 사냥꾼이 활을 내려놓자, 사슴은 아름다운 여인으로 변했다. 두 사람은 부부의 연을 맺고 행복하게 살았다고 한다.

사실 사슴은 무척 친근한 동물이다. 한라산의 백록담(白鹿潭)이라는 명칭도 '신선이 흰 사슴을 타고 내려와서, 사슴에게 물을 먹이는 연못'이라는 전설에서 유래 되었다고 한다. 일본의 나라공원에는 1000마리가 넘는 꽃사슴들이 살고 있다. '타케미카즈치'라는 군신(軍神)이 사슴을 타고 나타났다는 전설 때문에, 사람들이 사슴을 보호해 왔다고 한다. 도교의 십장생의 하나가 사슴이고, 그리스 신화의 달의 여신, 아르테미스는 사슴의 수호자였다. 사슴을 자신의 시조로 생각하는 민족도 있다. 게르만족과 켈트족은 수사슴을 자신의 조상으로 생각했고, 몽골족도 자신들이 푸른 이리와 흰 사슴 사이에서 태어난 민족이라고 생각했다. 스키타이족도 사슴과 깊은 인연이 있다. 사실 스키타이라는 말의 어원도 '사슴'이다. 스키타이 제사장은 제사를 지낼 때, 사슴뿔 모양의 관을 썼다. 이런 풍습은 신라의 금관으로까지 이어졌다고 한다. 이렇게 많은 신화와 전설에서 사슴이 주인공이 되는 것은, 아마도 뿔 때문일 것이다. 사슴의 뿔은 정기적으로 재생된다. 그래서 사슴은 새로운 탄생을 상징하는 동물로 여겨졌다.

최근 수원에서 주민 2명이 사슴에게 공격당했다. 부랴부랴 수원시가 나서서, 간신히 사슴을 포획했는데, 이번에는 의왕, 군산. 순천에서 사슴이 목격되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일본에서는 사슴뿔에 찔려서 사람이 사망하는 사고도 생겼다. 가을이 되면 사슴들이 짝짓기를 하는 데, 이때 수사슴들이 공격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위험하다고 한다.

우리나라의 사슴들은 사슴농장에서 탈출한 사슴들이 번식을 한 것이라고 추정되고 있다. 사슴이 절대 만만한 동물이 아니고, 경우에 따라서 사람이 크게 다칠 수 있다는 점을 생각하면, 사슴농장을 관리하는 분들은 각별히 신경 써야 할 것이다. 그렇지만 사슴이 인간세계를 침범한 것인지, 아니면 인간이 사슴이 살 곳을 빼앗아 버린 것인지는 아리송하기만 하다.

인간은 대자연의 일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대자연을 지배해 왔다. 어쩌면 이번 사슴사건들은 인간에게 보내는 대자연의 경고는 아닐까?

김준형 / 칼럼니스트(우리마음병원장)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