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7 (수)

삼성전자 인사 쇄신은 없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정현호 삼성전자 부회장, 전영현 부회장 겸 반도체(DS) 부문장, 한종희 부회장 겸 디바이스경험(DX)부문장(왼쪽부터).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정기 인사에서 ‘2인자’ 정현호 부회장을 비롯한 핵심 수뇌부가 모두 유임됐다. 문책성 인사는 반도체 부문의 사업부장을 일부 교체하는 것에 그쳤다. 앞서 삼성전자 최고경영진이 직접 ‘위기’를 거론하며 인적 쇄신을 시사한 점을 염두에 두면 사실상 현상 유지에 가까운 인사다. ‘5만전자’로 눌러앉은 삼성전자가 회사 안팎의 신뢰를 회복하기엔 역부족인 사장단 인사란 평가가 나온다.





‘부회장 3인’ 자리 지켜…문책은 반도체 사업부장만






삼성전자는 ‘2025년 정기 사장단 인사’를 27일 발표했다. 사장 승진자는 2명으로 ‘반도체 혹한기’였던 지난해와 규모가 같다. 전보를 포함한 인사 규모도 예년과 비슷한 수준인 9명이다.



한겨레

왼쪽부터 전영현 삼성전자 부회장 겸 반도체(DS) 부문장,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 겸 디바이스경험(DX)부문장, 한진만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 파운드리사업부장, 김용관 삼성전자 반도체부문 경영전략담당 사장, 이원진 삼성전자 디바이스경험부문 글로벌마케팅실장.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 수뇌부인 부회장단은 전부 자리를 유지했다. ‘2인자’로 불리는 정현호 사업지원태스크포스(TF)장과 대표이사를 맡고 있는 한종희 디바이스경험(DX)부문장, 전영현 반도체(DS)부문장이 모두 자리를 지켰다. 현재 미등기임원인 전영현 부회장을 대표이사로 내정하며 ‘대표이사 2인 체제’로의 전환을 예고한 게 사실상 유일한 변화다.



문책성 인사는 주로 반도체 부문의 개별 사업부장에 한정됐다. 반도체 부문의 3개 사업부 중에서 2곳의 수장이 바뀐다. 이정배 메모리사업부장이 물러나고 대신 전영현 부회장이 메모리사업부장을 겸임한다. 최시영 파운드리사업부장은 이번에 사장으로 승진한 한진만 미주(DSA)총괄 부사장으로 교체된다. 박용인 시스템엘에스아이(LSI)사업부장은 재신임받았다.





위기 원인으로 지목된 실질적 ‘사령탑’ 그대로






삼성전자는 이번 인사에서 반도체를 중심으로 쇄신했다고 강조한다. 고대역폭메모리(HBM)를 비롯해 첨단기술에서 뒤처졌다는 평가를 받는 메모리사업부를 전 부회장이 직접 이끌게 하고, 해마다 수조원대 적자를 내고 있는 파운드리사업부도 ‘투트랙 체제’로 전환해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설명이다. 한진만 신임 파운드리사업부장은 고객 영업을 담당하고, 사장급으로 신설된 파운드리사업부 최고기술책임자(CTO)를 맡은 남석우 사장은 저조한 수율(양품의 비율)을 끌어올리는 데 집중한다. 반도체 부문의 경영전략을 짜는 사장급 보직도 전 부회장 직속으로 신설했다. 사장으로 승진한 ‘기획·재무통’ 김용관 사업지원태스크포스 부사장이 맡는다.



회사 안팎에서 실질적인 사령탑으로 인식되는 사업지원태스크포스는 쇄신을 비켜 갔다. 정현호 부회장이 이끄는 이 조직은 지난 10월 본격화한 위기설 국면에서 회사 안팎에서 책임론에 휩싸인 바 있다. 그럼에도 이번 인사에서 사장 승진자 1명을 배출하고, 미래전략실 출신인 최고재무책임자(CFO) 박학규 사장이 합류하는 등 되레 보강됐다. 권한과 책임의 불일치를 불러일으킨다는 비판을 받았던 정현호 부회장의 미등기임원 신분도 유지된다.



책임 소재의 불투명성은 다른 부문 인사에서도 드러난다. 스마트폰과 가전 등을 만드는 디바이스경험 부문은 올해 블루투스 이어폰 ‘버즈3’ 품질 논란으로 공식 사과하고 교환·환불 조처를 단행한 바 있다. 지난달에는 스마트폰 신작 ‘갤럭시Z폴드 슬림 에디션’마저 품질 문제로 출시가 지연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했다. 양호한 영업 실적에도 해당 부문에서 문책성 인사가 있지 않겠느냐는 전망이 제기된 까닭이다. 하지만 노태문 모바일경험(MX)사업부장이 유임되고, 신설된 품질혁신위원회도 한종희 부회장이 맡는 등 기존 수장에게 힘을 실었다.



한겨레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지난 25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삼성 부당합병 혐의 관련 2심 공판에 출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삼성을 향한 시장의 신뢰를 회복하기에는 역부족인 인사라는 평가가 나온다. 앞서 전영현 부회장은 10월, 실적 부진에 대해 직접 사과하며 “모든 책임은 사업을 이끌고 있는 저희(경영진)에게 있다”고 했으며, 이재용 회장도 지난 25일 법정에서 “어려운 상황을 반드시 극복하고 앞으로 한발 더 나아가겠다”고 한 바 있다.



이에 최근 3개월 동안 20조원 가까이 삼성전자 주식을 내다 판 외국인 투자자 등 발길을 돌린 투자자가 단기간에 돌아오기 쉽지 않을 전망이다. 김우찬 고려대 교수(경영학)는 “이번 인사에서 실질적인 변화가 보이지 않는다”며 “삼성도 위기에 대한 해답을 찾지 못한 것으로 해석된다”고 말했다.



이재연 기자 jay@hani.co.kr



▶▶세상의 모든 책방, 한겨레에서 만나자 [세모책]

▶▶핫뉴스, ‘한겨레 텔레그램 뉴스봇’과 함께!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