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카드는 5년 전 사모펀드 운용사 MBK 파트너스에 인수된 곳으로 '경영 악화→매각 실패→투자 축소→노사 갈등'이 반복되고 있다는 평가다.
이제중 고려아연 부회장을 비롯한 임직원들이 서울 종로구 고려아연 본사에서 열린 MBK파트너스·영풍과의 경영권 분쟁 관련 기자회견에서 공개매수에 반대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뉴스핌DB]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8일 업계에 따르면 MBK가 인수했던 딜라이브, 홈플러스 등 여러 곳에서 불거진 실적 악화와 고용 불안정 문제가 또다시 되풀이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MBK는 현재 영풍과 손잡고 고려아연 경영권 분쟁 중이다.
롯데카드는 지난 2019년 MBK가 인수한 후 잡음이 커지고 있다. 사측은 업황 악화에 따른 긴축 경영 등을 내세우면서 노조 측과 갈등이 깊어지고 있다. 양측이 입장 차를 좀처럼 좁히지 못하고 있는 배경에는 임직원 간 불평등한 처우 문제도 자리하고 있다.
MBK에 인수된 후 롯데카드의 임원 수와 임원 1인 평균 급여는 20% 넘게 늘었다. 지난해 대표이사의 급여는 10억4200만원으로 업계 최상위권이다.
반면 금감원 공시 자료를 토대로 산정한 직원 평균 급여는 업계 최하위 수준이다. 경영진이 실적 악화 책임을 외면한 채, 직원들에게만 그 짐을 떠안기려 하고 있다는 것이 노조 반발의 이유다.
MBK는 롯데카드 인수 3년 후인 2022년 첫 매각을 시도했지만, 높은 몸값 탓에 불발됐다. 이후 매각 시도가 계속되는 동안 실적과 자산 건전성은 뒷걸음질쳤다.
올해 롯데카드의 상반기 순이익은 628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3060억원 대비 79.5% 감소했다. 연체 채권 비율도 올해 상반기 말 1.80%로 2022년 6월 말 0.91%와 비교해 두 배 가까이 높아졌다.
김광일 MBK파트너스 부회장(우)과 강성두 영풍 사장(좌). [사진=뉴스핌DB]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MBK가 인수한 후 불거지는 갈등은 2015년 인수한 홈플러스에서도 나타났다. MBK는 홈플러스 인수 당시 직원 고용 안정을 최우선으로 삼겠다며 강제적 인력 감축은 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이후 실제 해고 조치는 없었지만, 직원들 일각에서는 "자발적으로 퇴사할 수밖에 없는 환경을 만들고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홈플러스 노조에 따르면 통합부서 제도 도입에 따른 업무 과중 현상과 시설 투자 감소로 인한 열악한 근무 환경 등이 주요 문제로 꼽힌다.
2020년 통합 부서 제도가 도입돼 계산을 하던 직원이 식품 진열이나 물류 배치 등 익숙지 않은 업무에 투입되면서 업무가 과도하게 많아졌다는 것이다.
또 시설 투자를 줄이면서 열악한 환경에서 일하는 직원들이 많아졌고, 이러한 요인들이 직원들의 퇴사를 유도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신규 채용이 이루어져도 10명 가운데 7명은 금방 퇴사해 고질적인 인력 부족 문제도 해결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 홈플러스 노조 측 주장이다.
홈플러스 역시 롯데카드와 마찬가지로 여전히 매각처를 찾지 못한 채 내부 잡음만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아울러 MBK가 과거 인수했던 딜라이브와 네파, BHC 등도 유사한 내부 잡음을 겪어 온 것으로 전해진다.
한편 고려아연 역시 내부 임직원의 우려가 큰 상황이다. 임직원들 사이에는 MBK·영풍 연합이 경영권을 확보할 경우 실적 악화를 넘어 국가 기간산업이라는 역할마저 제 기능을 할 수 없는 상황이 올 것이라고 우려가 나온다.
고려아연 최고기술책임자(CTO)인 이제중 부회장과 핵심 기술 인력들은 지난 9월 기자회견을 열고 "MBK가 경영권을 가져갈 경우 전원 퇴사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숙련공이 중심이 되는 업종 특성상 핵심 기술진 이탈이 일어날 경우 실적 악화와 함께 여파로 수많은 임직원이 해고 압박에 놓일 수 있는 상황이다.
고려아연 측은 "롯데카드와 홈플러스 등 이미 수많은 기업이 MBK에 의해 심각한 문제 상황을 겪고 있는 만큼 정치권과 지역 주민들의 더 많은 관심과 도움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kimsh@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