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03 (화)

“기회의 땅이라더니 큰일 났다”…멕시코에 진출한 한국기업이 비상 걸린 이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트럼프 관세압박 대응 위해
멕시코, 면제조항 5월 개정
중국산 철강 무관세 사라져
가전·車 등 생산비용 치솟아

페소화, 28개월 만에 최저치
수입 원자재 가격 상승 부담
‘니어쇼어링’ 전략도 차질


매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이 중국 견제와 공급망 안정을 위한 니어쇼어링(인접국으로 생산기지 이전) 정책을 시행하면서 ‘기회의 땅’으로 여겨졌던 멕시코가 휘청이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멕시코산 제품에 대한 관세 위협 수위를 높이면서다. 강세를 보이던 멕시코 페소화도 투자 불확실성 증가에 최근 급락하는 모양새다. 여기에 지난달 5일부터 한국 기업들이 혜택을 보던 관세 혜택마저 사라져 니어쇼어링 대상지로서 기대를 품고 멕시코에 진출한 우리 기업들이 큰 낭패를 볼 것으로 염려된다.

1일 매일경제 취재를 종합하면 내년 1월 트럼프 당선인 취임과 함께 불거질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위협에 앞서 한국 기업들은 멕시코 정부의 최근 정책 변화로 인해 이미 관세 부담 증가 위험에 처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관세 압박에 대비해 지난 5월 멕시코가 수입 철강·알루미늄 등 제품에 대한 무관세 혜택을 없앴기 때문이다.

멕시코 정부는 수출입 관세 면제 조항인 ‘레글라 옥타바(Regla 8)’를 개정하면서 임시수입 무관세 혜택을 없앴다. 본래 철강, 알루미늄, 섬유 등 1239개 품목은 특정 기간 내 국외로 반출될 예정인 경우 관세 없이 멕시코에 들여올 수 있었으나 이 같은 혜택이 폐지된 것이다.

멕시코에 생산공장을 둔 국내 업체들은 비상이 걸렸다. 그간 국내 가전·자동차 업계는 한국 및 중국산 철강 제품을 멕시코에 무관세로 들여와 완성품으로 제조한 뒤 미국 등에 수출해왔다. 하지만 지난 5월 조항 개정 이후 수입 철강에 25%의 정상 관세가 적용되기 시작하면서 생산 비용이 크게 늘었다.

이 가운데 트럼프 당선인의 관세 위협도 우려로 작용하고 있다. 트럼프 당선인은 지난달 25일 불법 이민과 마약 밀수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멕시코와 캐나다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위협한 바 있다. 앞서 선거 유세 기간에는 중국이 멕시코에 자동차 공장을 짓고 있다며 멕시코에서 생산되는 자동차에 2000%의 관세를 물릴 수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멕시코 생산기지의 최대 장점은 미국·멕시코·캐나다 3국 간 자유무역협정(FTA)인 신북미자유무역협정(USMCA)에 따라 미국에 무관세로 제품을 팔 수 있다는 것이었는데, 트럼프 당선인의 관세 위협이 현실화되면 이 같은 장점이 사라지는 셈이다.

삼성전자, LG전자, 기아자동차, 포스코 등 멕시코에서 가전·자동차 생산기지를 운영하고 있는 국내 기업들도 트럼프발 관세 장벽의 타격을 비껴가기 어렵다는 우려가 나온다. 멕시코 경제부에 따르면 작년 기준 한국 기업들의 멕시코 투자 예정액은 69억달러(약 9조6000억원)로 세계 5위를 기록했다.

멕시코 역시 미국에 대한 수출이 차질을 빚으면 막대한 피해가 예상된다. 멕시코는 대미 수출 의존도가 80%를 넘어 사실상 미국 수출로 먹고사는 나라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대미 수출이 전체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분의 1에 달한다.

최근 취임한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이 친환경·공기업 강화 등 진보 의제를 내세우며 트럼프 당선인과 대조되는 성향을 보이는 점도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다만 셰인바움 대통령은 트럼프 당선인의 위협을 의식한 듯 일단 미국의 각종 요구사항에 보조를 맞추는 모양새다. 셰인바움 대통령은 최근 중국 전기자동차 업체의 멕시코 투자에 대해 “확실한 프로젝트 제안을 확인한 적이 없다”며 선을 긋고 국경 문제에서도 협력 의사를 표명했다.

‘니어쇼어링’ 타격 우려에 페소화 가치도 폭락했다. 달러 대비 멕시코 페소화 가치는 최근 8개월 사이 25% 가까이 떨어졌다. 올해 4월 8일 달러당 16.31페소까지 치솟았던 페소화 가치는 이후 급격히 하락세를 보이면서 이날 기준 달러당 20.38달러로 내려앉았다. 2022년 7월 이후 2년4개월 만에 최저 수준이다.

페소화 가치 하락에 따른 멕시코 현지 업체의 수입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한 불안 요인도 커지고 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