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04 (수)

기후위기에 트럼프 관세까지…겨울 한파보다 혹독한 식품 가격 인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메트로신문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연말 식품 물가에 초비상이 걸렸다. 기후위기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공약으로 내건 관세 정책이 식품업계를 덮친 것이다.

3일 <메트로경제신문> 취재를 종합해보면, 주요 식품업체들은 최근 국제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한 카카오, 커피 등을 주원료로 하는 제품에 대해 가격을 인상했다.

해태제과의 경우 지난 1일부터 초콜릿 원료 비중이 높은 홈런볼과 포키, 오예스, 자유시간 등 10개 제품 가격을 평균 8.6% 인상했다. 2022년 5월 이후 2년6개월만이다.

홈런볼과 포키 소비자 가격은 1700원에서 1900원으로 각각 200원(11.8%) 올랐으며, 자유시간은 1000원에서 1200원으로 200원(20%)인상했다. 오예스 가격도 6000원에서 6600원으로 10% 올렸다.

오리온도 13개 제품 가격을 평균 10.6% 올렸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초코송이와 비쵸비 가격은 20% 올랐다. 초콜릿 제품 투유의 경우 30% 이상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며 당분간 제품 공급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앞서 롯데웰푸드는 지난 6월 빼빼로와 가나초콜릿 등 17종 초콜릿 과자 가격을 평균 12% 올렸다.

제과업체들은 초콜릿의 주원료인 카카오 가격이 치솟은데다 물류, 인건비가 오르면서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토로했다.

실제로도 초콜릿의 주원료인 카카오의 국제 시세가 최근 2년간 네 배 이상 급등했다. 향후 카카오와 견과류 가격 상승이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가격 인상을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메트로신문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카카오와 커피 가격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는 이상 기후로 인한 생산량 감소가 꼽힌다. 세계 최대 카카오 생산국인 코트디부아르와 가나는 폭우와 전염병으로 생산량이 각각 20%, 35% 줄었으며, 커피 생산국인 베트남과 브라질은 가뭄과 폭우로 경작 및 수확에 차질을 빚고 있다. 이에 원두 가격 역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여기에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대비해 업체들이 선제적으로 물량 확보에 나선 것도 원두 가격 상승에 영향을 끼쳤다. 트럼프는 모든 수입품에 대해 10~20% 보편관세를 적용하겠다고 공약을 내건 바 있다.

동서식품은 지난달 15일 인스턴트커피와 믹스·음료 등의 제품 출고가를 평균 8.9% 올렸다. 맥심 모카골드(리필 500g)는 1만7450원에서 1만9110원으로, 같은 브랜드 커피믹스(2.16㎏)는 2만3700원에서 2만5950원으로 인상했다. 동서식품은 커피 음료인 맥심 티오피(275㎖)와 맥스웰하우스(500㎖) 가격도 각각 110원씩 높였다.

커피 프랜차이즈도 일찍이 가격을 인상했다. 지난 8월 스타벅스코리아는 커피 음료 그란데(473㎖) 사이즈와 벤티(591㎖) 사이즈 가격을 각각 300원, 600원씩 올렸다.

메트로신문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소비자들은 초콜릿과 커피 가격 상승이 또 다른 연쇄 가격 인상으로 이어질까 우려하고 있다. 국제 원두 가격 오름세가 지속될 경우 다른 식품 제조사들과 커피·베이커리 프랜차이즈 업체도 시차를 두고 가격 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서는 제과 제품에서 초코 함량이 줄어들 것으로 보고 있다. 스위스 기업 네슬레는 영국에서 초콜릿 함량을 기존 제품보다 3분의 1수준으로 낮춘 제품을 출시했고, 미국 기업 허쉬는 '킷캣'의 초코 코팅을 대폭 줄여 판매를 시작했다.

제과업계 관계자는 "카카오와 커피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환율 부담까지 더해지면서 가격 안정까지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카카오 등 식품 원재료 값 인상에 따름 식품업계의 경영 부담이 커지자 농림축산식품부는 내년부터 식품 소재 업계를 대상으로 '경영 안정 자금 지원' 제도를 도입하는 방안을 추진한고 밝혔다. 내년 밀 구매 자금 지원 예산을 축소하는 대신 카카오, 유지류 등 다른 식품 소재 분야로 지원 대상을 확대한다. 구체적인 품목별 지원 예산은 관련 부처 협의를 거쳐 확정할 예정이다. 3% 안팎의 저금리로 융자 지원하는 방안이 유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 관계자는 "제반 비용 상승으로 경영 부담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자금 지원 소식은 반갑지만, 이번 지원을 통해 원가 부담을 해소할 수 있을 지는 의문"이라고 말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