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이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된 4일 새벽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더불어민주당 당직자가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해제 관련 담화를 TV 통해 지켜보고 있다. /사진=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지난 3일 밤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령 선포와 더불어 네이버 뉴스 및 카페의 일부 기능이 제한되면서 시민들이 불안에 떨었다. 계엄령 포고문에 나온 '언론과 출판의 검열'이 즉시 적용된 것 아니냐는 우려였다. 다만 이는 갑작스러운 트래픽 증가에 따른 기능적 오류일 뿐, 계엄사의 영향을 받은 것은 아닌 것으로 파악됐다.
4일 네이버(NAVER)에 따르면 전날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후 네이버 카페와 뉴스 카테고리에 이용 장애가 발생했다. 일부 사용자는 카페에 접속하거나 새 글을 쓰고, 기존 게시물을 수정할 수 없었다. 일부 뉴스에는 댓글을 달 수 없는 현상도 나타났다.
이에 네이버는 4일 0시30분부터 2시까지 총 90분간 서비스 안정화를 위한 임시 점검에 들어갔다. 모든 기능은 오전 1시16분쯤 정상화된 것으로 알려졌다. 네이버는 "임시 점검으로 서비스 이용에 불편을 드리게 된 점 이해 부탁드린다"는 입장을 밝혔다.
일각에서는 계엄사가 포고문에 밝힌 3번 조항 '모든 언론과 출판은 계엄사의 통제를 받는다'를 즉시 시행한 것 아니냐는 얘기도 나왔다. 다만 계엄사의 포고와 달리 실제 신문사와 방송국, 포털사이트 본사 등에는 계엄군이 진입한 정황이 전혀 파악된 바 없다.
업계에서는 네이버가 일시적인 트래픽 과부하를 못 견뎠을 뿐이라는 이야기가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뉴스 속보 등을 통해 계엄령을 접한 누리꾼들이 다른 이들과 의견을 나누기 위해 카페 등 커뮤니티 기능으로 옮겨가다 트래픽이 많이 걸렸을 수 있다"고 추정했다.
이처럼 순간적인 트래픽 급증으로 네이버가 멈춘 게 처음은 아니다. 지난해 5월 31일 북한의 우주발사체 도발 직후 서울시가 부실한 경계경보를 문자로 발송하자 시민들의 네이버 접속이 급증하며 장애가 나타났다. 접속이 안되는 사람들이 새로고침을 이어가면서 트래픽 부하는 더 가중됐다.
현재 네이버의 모든 기능은 정상화됐지만 많은 이들이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한 시민은 "'서울의 봄'처럼 계엄군이 실제로 방송국을 장악한다면 국민들이 정보를 접할 곳은 온라인 뉴스 밖에 없다"며 "포털까지 정보 통제를 당하는 끔찍한 상황이 벌어졌을까봐 너무 무서웠다"고 전했다.
다만 실제로 네이버나 다음 등 포털을 막는다 해도 과거와 같은 '언론 통제' 효과를 누리기는 쉽지 않다는 전망이 나온다. 구글이나 유튜브 등 정보공유 기능을 가진 대체제가 다수 있고, 포털을 거치지 않는 뉴스 배급도 여전히 이뤄지기 때문이다. 1980년대와 달리 우후죽순 늘어난 수많은 온라인 매체들을 계엄사가 전부 통제할 수 있는 가능성도 극히 적다.
업계 관계자는 "대통령의 일방적인 비상계엄 선포 자체가 이례적인 상황이다보니 네이버가 장악당했다는 등 온갖 억측이 나온 것으로 보인다"며 "그 자체가 가짜뉴스인만큼 더 이상 근거 없는 소문이 확산돼 혼란을 가중시키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최우영 기자 young@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