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7 (금)

한강 "소설 쓸 때 삶과 맞바꿔도 될 절실한 질문에 머문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메트로신문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올해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한강(54)이 소설을 쓸 때 좋은 점은 삶과 맞바꿔도 될 만큼 절실한 질문에 빠져드는 것이라고 밝혔다.

소설가 한강은 7일(현지 시각) 스웨덴 한림원에서 열린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자 강연'에서 "장편소설을 쓰는 일에는 특별한 매혹이 있다. 완성까지 길게는 7년까지 걸리는 소설은 내 개인적 삶의 상당한 기간들과 맞바꿈 된다"며 "그렇게 맞바꿔도 좋다고 결심할 만큼 중요하고 절실한 질문들 속으로 들어가 머물 수 있다는 점이 좋았다"고 말했다.

그는 "하나의 장편소설을 쓸 때마다 질문들을 견디며 그 안에 산다. 질문의 끝에 다다를 때 소설을 완성하게 된다"면서 "소설을 쓰는 과정에서 변형된 나는 그 상태에서 다시 출발한다. 다음의 질문들이 사슬 또는 도미노처럼 포개지고 이어지며 새 소설을 시작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한강은 '채식주의자'를 썼을 때는 '한 인간이 완전하게 결백한 존재가 되는 것은 가능한가. 우리는 얼마나 깊게 폭력을 거부할 수 있는가. 그걸 위해 더 이상 인간이라는 종에 속하기를 거부하는 이에게 어떤 일이 일어나는가'라는 질문에 골몰했다.

'바람이 분다, 가라'를 집필한 때에는 '폭력을 거부하기 위해 삶과 세계를 거부할 수는 없다. 그렇다면 어떻게 나아갈 것인가. 마침내 우리는 살아남아야 하지 않는가. 생명으로 진실을 증언해야 하는 것 아닌가'를 물었다고 했다.

'희랍어 시간'에서는 '우리가 정말로 이 세계에서 살아나가야 한다면, 어떤 지점에서 그것이 가능한가. 이 덧없고 폭력적인 세계 가운데에서 인간의 가장 연한 부분을 들여다보는 것으로 우리는 마침내 살아갈 수 있는 것 아닐까'라는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졌다.

이어 '소년이 온다' 집필 작업을 하던 시기 1980년 5·18민주화운동 당시 피해자와 가해자의 사진을 보며 '인간은 인간에게 이런 선한, 혹은 악한 행동을 하는가'라는 양립할 수 없는 질문이 '과거가 현재를 도울 수 있는가'와 '죽은 자가 산 자를 구할 수 있는가'로 바뀌는 경험을 했다고 회상했다.

한강은 "'작별하지 않는다'를 출간한 2021년 가을까지 질문들의 국면은 계속해서 변하며 앞으로 나아갔지만 '세계는 왜 이토록 폭력적이고 고통스러운가', '동시에 세계는 어떻게 이렇게 아름다운가'라는 두 질문 사이의 긴장과 내적 투쟁이 글쓰기를 밀고 온 동력이라고 오랫동안 믿어왔다"며 "그러나, 최근 2~3년 전부터 그 생각을 의심하게 됐다"고 털어놓았다.

그러면서 "'첫 소설부터 최근의 소설까지, 어쩌면 모든 질문들의 가장 깊은 겹은 언제나 사랑을 향하고 있었던 것은 아닐까'라는 생각을 하게 됐다"고 그는 고백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