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성동마을 방음시설 설치, 주민들 경기미래교육 파주캠퍼스서 숙박
오물풍선 피해액 전액 지급…위험구역 설정기간 무기한 연장
지난 10월 23일 캠프그리브스에서 열린 대남 확성기 소음피해 주민 긴급현장 간담회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대남 확성기 피해 주민들을 만나 애로사항을 청취한 뒤 지원 시설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경기도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더팩트ㅣ의정부=양규원 기자] 북한 오물풍선과 대남방송 등으로 접경지 주민들의 물질적 피해와 정신·육체적 고통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경기도가 각종 지원책을 추진, 피해 최소화를 위한 노력을 멈추지 않고 있다.
13일 도에 따르면 수개월째 이어지고 있는 괴이한 소리의 북한 대남 확성기 방송에 주민들이 극심한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 동물소리, 귀신소리, 사이렌소리 등의 소리가 밤낮을 가리지 않고 들려오는 접경지 주민들은 수면장애와 스트레스, 불안 증세 등 건강까지 위협받는 지경이다.
이에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지난 10월 23일 파주 캠프그리브스에서 대남 확성기 소음 피해 주민 긴급 현장간담회를 열고 대성동마을 주민들의 목소리를 경청한 뒤 △대성동 마을 방음시설 설치 △건강검진 차량, '마음안심버스'(트라우마 검사 및 진료용) 2대 바로 투입 △주민 쉼터, 임시 숙소 마련 등 3가지 지시를 즉각 내렸다.
이후 도는 소음감소를 위해 대성동마을 주택 46세대의 창호 실측과 설계를 완료하고 이달 초 현장 공사에 들어가 15가구에 대한 방음장치 설치를 마쳤다. 오는 27일까지는 모든 공사를 조속히 마무리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도는 심리 안정과 난청 등의 치유를 위해 지난 10월 24일부터 캠프그리브스 내 쉼터 공간 4곳을 조성하고 건강검진 차량과 마음안심버스를 투입해 심리상담, 청력검사 등 252명에게 의료 서비스를 지원했다.
지난 10월 24일부터는 경기미래교육 파주캠퍼스 내 객실 24개를 임차, 현재까지 286명의 주민들이 잠자리로 사용하기도 했다.
도는 북한의 오물 풍선에 따른 비상상황에 대비해 지난 6월 2일부터 한 달간 ‘경기도 비상대비상황실’을 설치·운영, 수도군단, 1군단, 5군단, 경기남부경찰청, 경기북부경찰청, 경기도소방재난본부, 경기도북부소방재난본부 등과 연계해 수거와 감시 등 실시간 대응에 나섰다.
오물 풍선으로 접수된 재산피해는 차량 훼손, 주택 지붕 파손, 비닐하우스 파손, 공장 화재, 신체 부상 등 19건, 7656만 원에 이른다. 이에 도는 지난 8월부터 11월 말까지 모든 피해액 지급을 마쳤다.
도는 이에 그치지 않고 민간단체의 대북전단 살포에 맞선 북한의 오물 풍선으로 도민 피해가 잇따르자 지난 10월 16일 대북전단 살포행위 방지를 위해 파주시, 연천군, 김포시를 위험구역으로 설정했다. 접경지 주민들의 생존권과 안전을 고려한 조치로, 위험구역에는 경기도특별사법경찰단, 시군 공무원, 경찰 등 120여 명이 매일 순찰하며 24시간 출동가능한 현장대응 체계를 구축했다.
지난 5월 28일부터 위험구역 설정 전까지 북한은 28차례에 걸쳐 오물 풍선 6600여 개를 날려 보냈으나 위험구역 설정 이후에는 3차례 90여 개 살포에 그치고 있다. 이에 도는 주민 안전을 위해 11월 30일까지였던 위험구역 설정기간을 무기한 연장했다.
도는 또 위험구역 설정 전에도 대북전단 살포단체 2곳을 '항공안전법' 위반 혐의로 경찰에 수사 의뢰했고, 수사 결과 혐의가 인정돼 지난 11월 2곳 모두 검찰에 송치됐다.
지난 10월 말에는 납북자가족모임이 대북전단 살포를 예고하자 네덜란드 순방 중이던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10월 31일 새벽 긴급 상황점검 화상회의를 주재하고 대책을 지시하기도 했다.
도 관계자는 "현재 임시숙소에서 숙박 한 대성동 마을 주민들은 다소나마 안정을 찾아가고 있고 웃음을 짓기도 한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상황점검을 통해 주민들의 피해를 줄이고 평화를 지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 나갈 방침이다"고 말했다.
vv8300@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