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국회 탄핵소추안이 통과된 가운데 지난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대로 일대에서 시민들 및 정당, 시민단체가 윤 대통령 탄핵 집회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머니S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지난 14일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표결이 진행될 당시 서울 여의도·광화문 인근에서 대규모 집회가 열리며 이동통신 이용량과 주요 포털사이트 트래픽이 급증했으나 업체들의 선제적인 대비 덕분에 '통신 대란'은 발생하지 않았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20만명 가량이 모인 것으로 추정되는 지난 14일 여의도 집회에서는 별다른 통신 장애가 없었다. 지난 3일 윤 대통령이 비상 계엄을 선포했을 당시에 더해 지난 7~8일 여의도에서 집회가 이어지던 시기에는 트래픽 폭증으로 인해 일부 5G 통신이 끊기거나 주요 포털의 서비스 이용이 제한됐던 바 있다.
이동통신 3사는 탄핵안 표결 당일에도 이 같은 트래픽 폭증이 일어날 것에 대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함께 이동기지국 15대, 간이기지국 34대를 추가한 바 있다.
이동기지국은 주로 여의도에 집중 배치됐으나 '맞불집회'가 열린 광화문에도 적지 않은 기지국이 추가 배치됐다. 주요 통신사들은 정치적 편향성 논란에 엮이지 않기 위해 양 집회 현장 모두 통신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데 심혈을 기울였다는 후문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CEO가 월요일 정례회의에서 직접 두 현장 모두 중계기를 충분히 설치해 '어느 집회에서만 통신이 끊긴다'는 소리가 나오지 않도록 해달라고 철저히 당부했다"고 전했다.
SK텔레콤은 기지국 추가 증설 및 배치 외에도 기존 장비 최적화 등 적극적 조치를 통해 통신 용량을 대폭 확대했다. KT는 경기 과천관제센터에 중앙상황실을 열고 전체 통신 상황을 관리했다. LG유플러스도 네트워크 관리 자원을 총동원해 트래픽을 계속 관리했다.
NAVER(네이버)와 DAUM(다음) 등 포털도 지난 계엄 선포 당시와 달리 이번 탄핵안 표결 때는 접속에 문제가 없었다. 네이버는 트래픽 급증에 대비해 비상상황 체제에 들어갔다. 수용 가능한 트래픽을 평소에 대비해 더 확보하고, 비상근무 인원을 평소보다 더 확충해서 대기했다.
카카오는 뉴스 포털 다음과 카카오톡 등 주요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 지난 3일 계엄령 선포 직후부터 비상 대응체제를 구축해 적극적으로 대응해 왔다. 트래픽 폭증에 대비하기 위해 서버 확충을 완료했고 특별 모니터링 기간을 지정해 모니터링을 강화해 왔다.
최우영 기자 young@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