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화 가치↓…원·엔환율 900원 중반대 올라
日 경제 정책 변화, 엔화 강세 촉매제 예상
고점 인식 확산에 5대 은행 엔화예금 줄어
日 경제 정책 변화, 엔화 강세 촉매제 예상
고점 인식 확산에 5대 은행 엔화예금 줄어
서울 중구 하나은행 위변조대응센터에서 직원이 엔화와 달러화를 정리하는 모습.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최근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 확대로 원·엔 환율이 치솟자 엔테크(엔화+재테크)족의 차익실현을 둔 수 싸움이 치열해지고 있다.
15일 서울외환시장에 따르면 지난달 중순만 해도 100엔당 900원이던 원·엔 재정환율은 한 달 새 900원대 중반까지 급증했다. 탄핵정국 속 원화 가치가 하락한 영향이다. 엔화는 안전자산으로 인식돼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증가할수록 투자자들의 선호를 받는 경향이 있다.
‘12.3 계엄사태’가 터진 지난 3일 원·엔 환율은 100엔당 947.50원으로 전일대비 6.98원(0.75%) 올랐다.
지난 9일에는 957.07원까지 치솟아 지난 8월 5일 블랙먼데이 당시 기록한 964.6원 이후 최고 수준까지 뛰기도 했다.
엔화.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증권가에선 원·엔 환율이이 올 연말~내년 초 1000원대에 근접하는 등 지속 강세를 보일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주원 대신증권 연구원은 “중장기적 관점에서 통화가치는 매크로 펀더멘털에 수렴한다는 점에서 달러는 물론이고, 엔화에 대한 투자 수요 역시 유효할 것”이라며 “일본 정부와 일본은행의 정책 공조 또한 엔화 수요로 이어질 전망”이라고 말했다.
이는 일본의 경제 정책 변화가 금리와 투자 수요에 영향을 미치고, 엔화 강세를 증폭시킬 수 있다는 설명으로 풀이된다.
앞서 지난달 일본 정부는 39조엔 규모의 경제대책을 발표했다. 경제대책과 함께 소득세 기준 완화, 중소기업으로 임금 인상 확산 등을 촉구하며 소비 여력 개선에 집중하는 한편, 반도체, 인공지능(AI) 등 첨단 산업 지원을 강화했다.
이에 임금 인상 효과 등이 가시화되며 일본은행이 통화정책 정상화, 즉 금리 인상 여력을 확보했다는 점도 엔화강세를 지지한다고 대신증권은 분석했다.
강진혁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11월 한은 깜짝 금리인하에 이어 탄핵 정국 진행되는 불확실성 영향에 원화 약세 지속되는 와중, 지난달 도쿄 소비자물가는 예상치 상회하며 금리 인상 우려 야기, 엔화 강세를 유발했다”고 진단했다.
일본은행.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동시에 투자자들 사이에선 지금이 고점이란 인식이 퍼지며 시중은행 엔화예금 잔액이 빠르게 빠지고 있다.
12.3 계엄사태 직후인 지난 4일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의 엔화 예금 잔액은 전날 대비 353억엔(약 3324억원) 줄었다.
문남중 대신증권 연구원은 “일본은행의 12월 금정위 전까지 금리 인상 여부를 두고 시장 내 이견 차이가 나타나겠지만, 시기의 문제일 뿐 일본은행의 금리 인상은 빠르면 올해 12월, 늦어도 내년 1월 단행될 여지가 커 향후 엔화 강세와 증시 하락이라는 조합을 염두에 둔 금융시장 흐름을 예상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