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15 (일)

국내 대표PEF '실탄 10조'···이젠 투자전쟁 열린다 [시그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올 블라인드펀딩 잇따라 마무리

MBK 3.5조, 한앤코는 2조 여력

내년에도 대기업 사업분할 활발

금리인하기 M&A시장 불붙을듯

이 기사는 2024년 12월 15일 15:53 자본시장 나침반 '시그널(Signal)' 에 표출됐습니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내 사모펀드(PEF) 운용사들이 하나둘 조(兆) 단위 블라인드펀드(투자처를 정하지 않은 펀드) 결성을 마무리하면서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투자 경쟁에 불이 붙을 것이라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국내 10여 개 대표 PEF 하우스가 투자할 수 있는 여력만 10조 원에 달하는 만큼 새 주인을 찾지 못한 인수합병(M&A) 시장 매물이 대거 소화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15일 투자은행(IB) 업계 추정에 따르면 현재 국내 대표 10개 PEF가 지분 투자에 쓸 수 있는 여력은 약 10조 원이다. 운용사들이 통상 블라인드펀드 설립 후 5년 이내에 투자를 마쳐야 하는 점을 감안하면 내년에 설립 2~3년차를 맞는 펀드들은 본격적으로 투자를 단행해야 한다.

PEF들이 올 한 해에는 여러 연기금·공제회 경쟁 입찰(컨테스트)을 통해 치열하게 자금 모집 경쟁을 펼쳤다면 내년부터는 투자 전쟁을 벌여야 하는 셈이다. 업계는 내년 금리 인하기를 맞아 그간 M&A에 걸림돌이 됐던 기업가치 평가 간극(밸류에이션 갭)도 크게 줄어들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이 가운데 MBK파트너스는 최근 6호 블라인드펀드를 7조 원 규모로 2차 클로징(마감)했고 앞으로 그 규모를 총 9조 원까지 늘리기로 했다. MBK파트너스는 일반적으로 블라인드펀드 자금의 50% 정도를 국내 투자에 사용하는데 아직 3조 5000억 원이 그대로 남아 있다. 한앤컴퍼니(한앤코)는 올 7월 4조 7000억 원 규모의 4호 블라인드펀드를 조성해 루트로닉과 SK(034730)엔펄스의 파인세라믹스 사업부 인수에 투자했다. 또 SK스페셜티의 우선협상대상자로도 선정돼 내년 초 주식매매계약(SPA)을 체결할 예정이다.

IMM프라이빗에쿼티(PE)와 스틱인베스트먼트는 올해 2조 원 규모로 펀드를 클로징하고 본격적으로 투자처를 살피고 있다. IMM PE는 올해 로즈골드 5호 펀드 자금 중 30% 정도만 에코비트, 에어퍼스트, UTK 인수 등에 소진해 투자 여력이 아직도 넉넉하다. 로즈골드 5호에는 총 52개 기관이 출자했다. 스틱 역시 오퍼튜니티 3호 자금을 재원산업, 녹수, 티맥스소프트 등에 썼다.

중형급인 프랙시스캐피탈, JKL파트너스, VIG파트너스, 프리미어파트너스는 펀드 결성 일정과 규모가 엇비슷하다. 이들 PEF는 올 하반기 새마을금고, 노란우산공제, 과학기술인공제회 등의 출자 사업에 이름을 올렸다. 늦어도 다음 달까지 약 6000억 원 규모로 1차 클로징을 마치고 내년 상반기에 자금 규모를 1조 원까지 늘릴 계획이다. 다만 이들 가운데 JKL파트너스는 자금 규모를 다소 적은 8000억 원 수준으로 계획하고 있고 프랙시스캐피탈은 목표액을 설정하지 않았다.

실탄 확보뿐 아니라 M&A 시장에 대규모 매물이 여럿 쌓였다는 점도 내년 중대형 PEF들의 치열한 투자 경쟁을 점칠 수 있는 대목이다. 현재 시장에는 홈플러스 익스프레스(MBK), 케이카(한앤코), 하나투어(039130)(IMM PE), HPSP(크레센도에쿼티파트너스), 클래시스(베인캐피털), 프리드라이프(VIG파트너스), 여기어때(CVC캐피탈) 등 조 단위 거래가 예상되는 매물이 상당수 나와 있는 상태다.

국내 대기업들의 사업 구조 개편(리밸런싱)에 따라 카브아웃(사업부 분할 매각)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점도 M&A 투자 경쟁을 촉진하는 요인으로 꼽힌다. 업계에서는 올해 거래가 완료된 SK렌터카, 롯데렌탈(089860) 외에 CJ제일제당 그린바이오 사업, SK아이이테크놀로지(SKIET) 등 추가적인 대기업발(發) 카브아웃이 잇따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PEF의 잠재적 경쟁 상대인 대기업들은 최근 리밸런싱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어 상대적으로 투자에는 소극적인 상황이다.

업계 관계자는 “한국 시장이 저평가됐다는 분위기가 투자에 유리할 수 있다”며 “기존 투자 자금을 회수하는 쪽에서는 눈높이를 낮출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업계에서는 최근 탄핵 정국에 따른 정치 불확실성도 M&A 시장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M&A 시장의 경우 3~5년을 내다보고 투자하기 때문에 단기 변수의 영향은 작을 것이라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글로벌 IB의 한 관계자는 “탄핵 정국보다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에 따른 불확실성이 더 크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본사에 전달했다”고 말했다. 블랙스톤은 최근 “본사가 한국 투자팀에 국내 시장 투자에 유의하라는 지침을 내렸다는 주장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며 “장기적으로 한국 시장에 대한 굳건한 신뢰를 갖고 있다”고 밝혔다.

황정원 기자 garden@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