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 "당선인 신분 한계도 있지만…무관심 가능성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 AFP=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스1) 노민호 정윤영 기자 = 비상계엄 사태와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안 국회 가결에 대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침묵'이 길어지고 있다. 그가 침묵으로 외교적 메시지를 던지는 것이라는 분석과 이번 사안에 관심이 크지 않다는 분석이 16일 동시에 제기된다.
트럼프 당선인은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해제 이후 국회의 탄핵소추안 가결에 대한 입장이나 평가 등을 내놓지 않고 있다.
트럼프 측의 메시지도 국무장관 지명자인 마르코 루비오 공화당 상원의원이 지난 3일(현지시간) 미국의소리(VOA)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한국은 역동적인 민주주의 국가"라며 "입법부를 통해 문제를 해결해 나갈 것"이라고 밝힌 것이 전부다.
이는 조 바이든 행정부 인사들이 계엄 선포 직후부터 '심각한 오판' '민주적 절차 승리 기대' 등 윤 대통령의 조치에 선을 긋는 비판 발언을 내놓는 것과 대비된다.
정부가 이같은 트럼프 측의 '무반응'에 대한 정무적 판단을 내렸을지 여부도 관심사다. 외교부 고위 당국자는 전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계엄 사태 직후에 트럼프 측과의 소통에 열흘가량 지장이 있었다고 밝힌 바 있다.
이는 사실상 윤 대통령의 탄핵안 가결 전까진 소통이 어려웠다는 이야기로 풀이된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은 전날인 15일 바이든 미 대통령과 통화를 했고, 이에 대해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같은 날 기자간담회에서 이번 통화로 정상외교 공백 우려가 불식됐다고 평가해 트럼프 측과의 소통도 다시 '복구'할 방침을 시사했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뉴스1 ⓒ News1 황기선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외교가에선 '침묵도 메시지'라는 분석을 내놓는다. 필요할 때면 언제든지 소셜미디어 네트워크(SNS)에 짧지만 강렬하게 메시지를 적어왔던 게 트럼프 당선인이기 때문이다.
이에 일각에선 그의 특유의 '협상가' 기질을 감안할 때, 향후 한미동맹 사안을 '거래의 관점'에서 접근하기 위한 '사전 포석' 측면의 침묵일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대선 유세 과정에서 한국을 '머니 머신'(Money Machine·부유한 나라를 의미)이라 칭한 그가 한국의 혼란 상황에 대한 언급은 피하며 '협상 테이블은 여전히 유효하다'는 메시지를 유지하기 위한, 즉 '동맹의 기여'를 강조하기 위한 의도적 '로키'(Low Key·절제된 방식) 행보라는 분석이 나온다. 트럼프 당선인이나 다른 주요 외교안보라인 인사들의 발언이 없는 것도 메시지를 의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다만 대다수의 전문가는 현재 당선인 신분에서 트럼프가 낼 수 있는 메시지는 한정적이라는 점에서 너무 확대해석할 필요 없다는 데 의견을 모으고 있다.
하상응 서강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당선인 신분에서 어떤 메시지가 나오길 기대하는 건 오버 리액션"이라고 말했다.
하 교수는 향후 한 권한대행과 트럼프 당선인의 소통 가능성에 대해선 "(한국의) 정상적 대통령 선출이 트럼프 당선인과 대화에 있어 필수 요소"라며 "권한대행을 만나지는 않을 것이다. 현 상황에선 트럼프 행정부가 출범했을 때 뭔가 새로운 과제 추진은 전면 중단으로 볼 수 있다"라고 짚었다.
박원곤 이화여대 교수도 "정식 행정부 출범이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메시지 발신을 자제하는 것으로 보인다"라며 "다만 트럼프 당선인이 하고 싶은 말이 있을 때는 언제든지 하는 스타일이라는 점에서 동맹국, 우방국, 적성국에 상관없이 각국 내정에는 관심이 없다는 측면이 더 커 보인다"라고 말했다.
박 교수는 "트럼프 당선인은 1기 집권 때도 그렇고 지금까지 동맹국이나 타국의 내정에 대해 언급한 경우가 사실상 없다"라고 덧붙였다.
ntig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