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17 (화)

네타냐후, 트럼프 업고 ‘골란고원 야욕’ 노골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트럼프와 논의”…시리아 혼란 틈 타 “유대인 정착촌 확대”

주요 식수원·요충지…독 “점령 명백” 등 국제사회는 비판

경향신문

골란고원 누비는 이스라엘군 이스라엘군 병력을 태운 차량들이 15일(현지시간) 골란고원 마즈달 샴스 마을에서 시리아 국경 비무장 완충지대를 향해 이동하고 있다. A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스라엘이 ‘시리아의 위협’을 명분으로 1967년 시리아로부터 빼앗은 골란고원 점령지에 유대인 정착촌을 확대하는 계획을 승인했다. 최근 바샤르 알아사드 시리아 독재정권 붕괴에 따른 혼란을 틈타 또다시 영토 분쟁에 불을 붙인 것이다. 미국을 제외한 국제사회는 이스라엘의 골란고원 점령을 ‘불법’으로 규정하고 있어, 이스라엘의 점령지 확대 시도에 대한 비판이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15일(현지시간) 성명을 내고 “골란을 강화하는 것이 이스라엘을 강화하는 것이며, 지금 이 시기에 특히 중요하다”면서 골란고원 내 유대인 정착촌을 확대해 이곳 인구를 2배로 늘리겠다고 발표했다.

이스라엘은 1967년 3차 중동전쟁 당시 시리아 영토인 골란고원을 빼앗아 현재까지 이곳의 80%를 점령하고 있다. 유엔은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를 통해 이를 ‘불법 점령’으로 규정했고 국제법상 여전히 시리아 영토지만, 이스라엘은 반환을 거부하고 실효 지배를 굳혀 왔다. 1981년에는 골란고원을 자국 영토로 편입하는 법을 통과시켰다.

이스라엘은 3차 중동전쟁 당시 골란고원 외에도 이집트 북부 시나이반도와 요르단강 서안지구, 가자지구 등도 점령했다. 이후 시나이반도는 이집트에 돌려줬고, 요르단으로부터 빼앗은 서안지구도 팔레스타인 자치령으로 일부나마 반환했다. 가자지구에선 2005년 병력과 정착촌을 철수했다. 그러나 유독 골란고원에 대해서는 자국 영토임을 고집하고 있다.

이는 골란고원이 이스라엘의 주요 식수원이자 전략적 요충지이기 때문이다. 골란고원은 갈릴리 호수의 수원으로 이스라엘은 수자원의 40%를 이곳에 의존하고 있다. 골란고원에는 유대인 정착촌이 30곳 넘게 조성돼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네타냐후 정부가 골란고원에서도 정착촌 확대에 시동을 건 것은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2기 정부 출범을 염두에 둔 행보로 보인다. 이날 네타냐후 총리는 “어젯밤 내 친구이자 미국 대통령 당선인인 트럼프와 모든 것을 논의했다”고 밝힌 뒤 곧바로 골란고원 정착촌 확대를 발표했다.

트럼프 당선인은 1기 정부 때인 2019년 ‘골란고원은 이스라엘 영토’라는 포고문에 서명하며 해묵은 영토 갈등에 불을 붙였다. 예루살렘을 이스라엘 수도로 인정하고 미국 대사관을 텔아비브에서 예루살렘으로 이전하는 등 확고한 ‘친이스라엘’ 행보의 연장선이었다.

그러나 이는 골란고원에 대한 유엔 안보리 결의와 정면으로 배치되는 결정으로, 유엔 등 국제사회는 미국의 ‘이스라엘 편들기’를 공개 비판했다. 독일 외교부는 16일 “이 지역은 시리아에 속하기 때문에 이스라엘은 국제법상 점령국임이 명백하다”며 골란고원 정착촌 확대 계획을 폐기하라고 촉구했다.

여기에 알아사드 정권 붕괴로 일시적인 권력 공백 상태에 놓인 시리아가 거세게 저항하기 어려운 조건이라는 점도 이스라엘의 점령지 확장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네타냐후 총리는 알아사드 정권 붕괴 다음날인 지난 9일 기자회견을 열고 “시리아군이 진지를 포기했다”고 주장하며 “골란고원은 영원히 이스라엘의 일부로 남을 것”이라고 말했다.

선명수 기자 sms@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계엄해제, 탄핵 순간 사라진 국회의원은 누구?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