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5 (수)

[김정기의 소통카페] 입과 귀가 함께하는 소통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김정기 한양대학교 명예교수 커뮤니케이션학


이제 9일이 지나면 우리 곁을 떠나갈 2024년은 불통의 시간이었다. 견고한 불통과 불통의 싸움박질 속에서 소통의 ‘말길’은 끊어지고, 다른 생각과 의견은 난타당하고 사라졌다. 바람 잘 날 없는 날의 연속이었다. 야당은 입법으로, 여당은 재의 요청으로, 대통령은 재의권 발동으로 불통했다. 끈질긴 맞불 불통의 융단폭격으로 국민은 충분하게 다사다난하고 절절하게 고통스러웠다. 신기한 건 정치인들이 국민과 나라의 앞날을 앞세울수록 불통의 골짜기는 깊어 가고, 국민의 걱정은 눈덩이처럼 커지는 거였다. 그런 불통의 끝은 결국 어이없는 비상계엄 소동이었다.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를 힘으로 누르려 한 잘못은 법에 따라 엄정히 처리하고 서둘러 안정된 나라로 돌아가야 할 것이다. 다만 대한민국 역대 정권에 공통적으로 나타난 불통의 저주를 되풀이하지 않을 통치 리더십 제도를 갖추고 또 그런 지도자를 선택해야 할 것이다.



장흥 풀로만 목장의 소 은퇴식

불통 정치권 대비되는 공생 지혜

상대와 의미 공유 경청 우선돼야

중앙일보

일러스트=김지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사실 불통하기는 쉽다. 상대를 무시하고 상대의 존재를 부정하고 상대가 못하는 점만 찾아내 규탄하면 된다. 잘못된 것은 상대 탓으로 돌리고, 일방적으로 자기 말만 하고 상대의 말은 듣지 않으면 된다. 말하는 입은 열고 말을 듣는 귀는 닫으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소통은 쉽지 않고 어렵다. 상대의 의견을 잘 듣고 반영하며 상대와 보조를 맞추려고 하기 때문이다. 상대를 인정하고 상대의 생각을 존중하며 상대의 의견을 이해하려 하기에 시간이 걸린다. 자신의 귀를 활짝 열어 놓은 채 사려 깊게 생각하고 극단의 지지층만이 아닌 모든 국민을 아우를 수 있는 지혜로운 말을 고르려 하기 때문에 쉽지 않다. 그래서 소통은 어렵고 불통은 쉬운 것이다.

불통의 어두운 힘에 눌린 속수무책의 무력감 속에서 “사람은 사람답게 소는 소답게”라는 말을 만난 건 행운이었다. 상대를 인정하는 긍정과 배려가 있는 고결한 말이었다. 우리 국민과 공동체를 불화하게 하는 불통에 도사린 상대의 존재에 대한 부정과 배제가 아니었다. 무례 대신 예의, 무시 대신 존중, 독점 대신 공유, 독주 대신 협의, 나 대신 우리가 함께하는 공생의 지혜였다.

이 말은 전남 장흥군 대흥읍에 소재한 ‘풀로만 목장’의 조영현 대표의 소신이다. 조 대표는 지난달 24일 ‘창립 멤버 소’ 은퇴식을 열었다. 2011년 11월 서울 생활에서 귀농하며 마련한 암송아지 12마리 중에서 더 이상 새끼를 낳을 수 없는 3마리의 고마움을 기리는 자리였다. “목장을 위해 큰일을 했던 소들에게 신세를 갚으려 한다.” 은퇴 소는 그동안 경제 동물로 일해 오다 반려동물로 다시 태어날 것이라고 밝혔다. 새끼를 낳지 못하는 암소의 예정된 코스인 도축장 대신 초원에서 새끼들과 함께 여생을 보낼 수 있게 한 것이다. 상대를 존중하며 감사할 줄 알고 공생하라는 조 대표의 언행이 낯설게 느껴지는 건 우리 공동체가 소통과 공생의 삶에서 많이 멀어졌단 반증일 것이다.

중앙일보

지난달 24일 전남 장흥군 대덕읍 풀로만 목장에서 열린 ‘창립멤버우(牛) 은퇴식’에서 은퇴한 소 3마리가 풀을 먹고 있다. 황희규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입만 사용하고 귀의 역할을 무시하는 소통은 불량품이 될 수밖에 없다. 소통의 출발점인 경청은 귀로부터 오기 때문이다. 경청이 없으면 소통은 제대로 작동할 수 없다. 경청의 부재가 지속되면 확증편향과 진영 논리가 무성해지고 거짓이 공공연하게 여론이 되고 사회의 구조로 정착한다. 경청은 상대방의 말을 듣기만 하는 단순한 행위가 아니다. 말을 하는 상대에 대해 귀를 기울여 듣고, 주목을 기울여 듣고, 말의 의미를 이해하려고 마음을 기울이는 노력을 갖추어야 한다(『Listening』, Wolvin & Coakley). 듣기·주목·이해의 3개 차원이 각각 그리고 결합적으로 작동해야 경청이 제대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거의 100년이나 전인 1926년에 랜킨(Rankin)에 의해 최초로 실시된 기념비적인 조사는 사람의 언어 행위(듣기·읽기·쓰기) 중에서 ‘듣기’가 가장 빈번하고 가장 많은 시간이 할애되는 행위임을 밝혔다. 이후의 연구에서도 경청의 중요성은 지속해서 확인되었다.

경청이 언어 행위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는 사실은 소통하면 의례적으로 떠올리는 ‘말하기’보다 ‘진지한 듣기’를 우선에 두어야 한다는 점을 의미한다. 경청은 자기만 옳은 건 아니라는 걸 깨닫게 하여 대화와 타협을 통한 소통의 가치를 일깨운다. 자신의 생각은 소중하다. 그러나 자신의 생각을 상대에게 강요하지 않고 소통을 통하여 ‘상대와 나 사이의 의미(meaning between people)’를 공유하고 공생하는 것이 더 소중하다. 입과 귀가 함께 하는 소통이 소중한 이유이다.

김정기 한양대학교 명예교수·커뮤니케이션학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