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3 (월)

‘엄마딸 오늘 집에 못 들어가’ 그날 밤을 새운 소녀들 [플랫]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엄마딸 오늘 집에 못 들어가. 지난 토요일 밤 남태령 고개에 모인 청년여성들이 보냈다는 문자다. 전국농민회총연맹(전농) 소속 농민들이 트랙터를 몰고 서울로 들어가려다 경찰의 저지로 멈춰 섰다. 낮 동안 광화문과 종로 집회에 참여했던 사람들은 남태령으로 와 달라는 메시지를 받고 귀갓길 발걸음을 돌렸다. 경찰버스로 막힌 길목에서 사람들은 “차 빼라” “윤석열 파면”을 외치며 밤을 새웠다.

경향신문

전국농민회총연맹이 트랙터를 몰고 서울 한남동 대통령광저로 향하다 서울 서초구 남태령 일대에서 가로 막혀 밤새 대치한 다음날인 22일 시민들이 모여 집회를 이어나가고 있다. 정효진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얼마나 추웠을까. 새벽에는 영하 6도까지 내려가리라는 예보와 함께 12월 동짓날의 긴 밤이 기다리고 있었다. 편의점 하나 없는, 텅 빈 벌판에서 어떤 이는 마이크를 잡고 어떤 이는 응원봉을 흔들며 구호를 외치고 노래를 불렀다.

소녀들이었다. 유튜브 생중계 영상 속에 비친 그들의 모습은 10대와 20대로 보였다. 아직 학생이거나 직장 초년생이거나 누군가의 딸들일 그들의 얼굴은 한겨울 얼어붙은 날씨 속에서 야광봉보다 더 파랗게 빛났다. 트위터(X)와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그들은 스스로를 ‘애기(아기)’라고 부르며 농민 어르신들을 지키자고 다독였다.

피자가 오고 커피와 따뜻한 차가 오고 핫팩이 전달됐다. 방구석 1열을 지키고 있던 사람들은 영상 시청자 수라도 늘리자며 유튜브를 끄지 않았고 집회 참여자들을 위해 음식과 보온용품을 주문했다. 덕분에 수백명에 이르는 참여자들은 추위를 견디고 배를 곯지 않을 수 있었다. 아침 지하철 첫차가 운행되면 ‘배턴터치’하겠다는 메시지도 함께 전달됐다.

무슨 말이 더 필요할까. 저체온증 위험까지 감수하며 한겨울 벌판에서 밤을 지새운 이들에게 어떤 설명을 덧댄다면 그것은 분명 사족(蛇足)일 것이다. 열 마디 말보다 한 장의 사진, 몇 분간의 영상이 더 많은 진실을 알려준다는 말은 이런 경우를 두고 하는 것일 테다. 그럼에도 그들, 소녀들을 위해 뭔가라도 해야 한다는 나의 아주 작은 책임감이 집회가 계속되는 일요일 오전 이 글을 쓰게 만들었다.

경향신문

전국농민회총연맹이 트랙터를 몰고 서울 한남동 대통령광저로 향하다 서울 서초구 남태령 일대에서 가로 막혀 밤새 대치한 다음날인 22일 시민들이 모여 집회를 이어나가고 있다. 정효진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청년여성들이 윤석열 탄핵 집회를 주도하고 문화를 바꾸어온 이 뜻밖의 현상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해가 진 뒤에나 날기 시작하는 미네르바(지혜의 부엉이)’의 게으른 임무라도 외면하지 말자는 생각으로 몇 가지를 추측해본다.

첫째, 청년여성들의 ‘사회적 감수성’이다. ‘청년’의 시기는 사회적 부정의에 예민하다. 그런데 왜 청년 ‘여성들’인가? 20대 여성들에게 물은 결과 두 가지 답변을 얻었다. 하나는 윤석열 내란의 충격이다. 1987년 민주화 이후 체제에서 성장해온 그들은 한 번도 의심하지 않았던 민주주의가 얼마나 쉽게 훼손되고 무너질 수 있는지를 보았다. 그들에게 민주주의는 어떤 정당이나 사상, 이데올로기보다도 앞서는 기본권이었고 그만큼 충격이 컸다. 12월3일 밤 이후 한국 상황을 외국의 K팝 친구들에게 설명해야 하는 이들은 자존심에 큰 상처를 받았다. 다른 하나는 여성으로 겪어온 불평등의 경험이다. 성차별과 성폭력의 위험에 대한 인식이다.

둘째, 사회적 소수자로서의 연대의식이다. 토요일 밤 집회에서 청년여성들은 여성, 장애인, 성소수자와 함께 농민이 있다는 것을 알았다고 말했다. 그날 밤 SNS에는 우리가 떠나면 농민들이 공격받을 수 있다는 걱정의 말들이 넘쳤고 그들은 농민들 곁을 지켰다.

셋째, 액티비즘이다. 강남역 여성살해사건과 미투, 윤석열 정부의 백래시에 대한 저항, 젠더폭력의 사회적 의제화 과정에서 청년여성들은 실천을 두려워하지 않는 법을 배웠다. 토요일 밤 집회는 이들의 실천이 응원봉에만 그치는 것이 아님을 보여주었다. 살인적인 추위 속에서도 광장을 떠나지 않고 서로를 돌보기 위해 애썼던 이들과, 밤 내내 생중계 영상을 보며 격려하고 경찰서에 항의 전화를 건 이들의 책임감과 행동력은 또 다른 역사로 기록될 것이다.

12·3 사태 후 청년여성들의 인터넷 커뮤니티에선 감기약 먹고 집회에 나가고, 몸이 부서질 것 같은데 안 나가면 더 힘들 것 같아 응원봉을 챙긴다는 이야기들이 쏟아졌다. “춥고 아파서 하나씩 나가떨어지는데 그까짓 차 몇 대가 뭐라고 국민들이 밤을 새우고 서로를 지키고 나는 그것도 하나 못 버티고 아프다고 저 현장을 혼자 빠져나오고 너무 괴로워”(인터넷 커뮤니티 더쿠에서 인용)한다는 고백이다.

정작 괴로워해야 할 사람은 누구인가. 나 역시 괴롭고, 괴로움을 모르는 내란 동조 세력들로 인해 더욱더 괴롭다. 그러나 우리의 이 괴로움이 사회를 맑게 지켜갈 것이라는 사실도 안다. 그날 밤 광장을 지킨 소녀들에게 경의를 표한다.

▼ 신경아 한림대 사회학과 교수

플랫팀 기자 flat@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계엄, 시작과 끝은? 윤석열 ‘내란 사건’ 일지 완벽 정리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