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리 장기화·경기침체로 하위 등급 기업 늘어
23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4년 정기 신용위험평가 결과 및 향후 계획'에 따르면 채권은행은 올해 203개사를 부실징후기업으로 선정했다. 이 중 219개사가 중소기업이며 대기업은 11개사다.
[자료=금융감독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부실징후기업은 전년 대비 1개사가 감소했지만, 등급별로 보면 하위 등급 기업이 늘었다. 부실징후기업은 C등급과 D등급으로 나뉘는데 D등급 기업이 올해 17개사가 늘었다. 대기업에서 5개사, 중소기업에서 2개사가 D등급을 받았다.
금감원 관계자는 "경기회복 지연에 따른 업황 부진과 원가 상승·고금리 장기화 등으로 한계기업의 경영악화가 심화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말 우리나라의 한계기업 비중은 16.4%로 지난 2022년 대비 0.9%포인트(p) 증가했다. 지난해 10월 말 기준 돈을 갚지 못해 법원에 회생을 신청한 기업도 879개사로 전년 동기 대비 63곳 증가했다.
부실징후기업은 부동산업이 30개사로 가장 많았다. 자동차업종이 21개, 고무와 플라스틱과 기계장비가 각각 18개, 도매중개업이 14개 순이었다.
부동산업은 전년 대비 부실징후기업이 8개사가 증가했다. 자동차업도 4개사가 늘었다. 전문직별 공사업에서도 4개사가 증가했다.
이들 부실징후기업의 은행권 신용공여 규모는 지난 9월 말 기준 1조9000억원으로 전체 신용공여 규모의 0.07% 수준으로 미미하다. 이에 따른 은행들의 충당금 추가 적립 추정액은 2069억원으로 자본비율 영향도 미미하다는 게 금감원의 평가다.
다만 부실징후기업의 전 금융권 신용공여 규모가 3조8000억원에 달하는 만큼 신속한 워크아웃을 진행하고 부실 정리를 유도하겠단 계획이다.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높은 기업은 워크아웃 또는 회생 등 법적 구조조정 등을 지원하고, 필요시 부실을 신속히 정리하기로 했다.
부실징후기업은 아니지만 일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기업은 금융지원을 강화한다. 영업력은 있으나 금융비용 상승으로 일시적 유동성 애로를 겪는 기업은 신속 금융지원, 프리워크아웃 등을 통해 위기 극복을 지원키로 했다. 경영 위기 중소기업이 관계기관 지원을 폭넓게 받도록 은행권도 거래기업에 지원제도를 안내하기로 했다.
/박은경 기자(mylife1440@inews24.com)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