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6 (목)

[씨줄날줄] 희년(禧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지난 크리스마스 전야, 프란치스코 교황은 바티칸 라테라노 대성당의 성문(聖門)을 열고 2025년 희년(禧年)의 시작을 알렸다. ‘모든 성당의 어머니’라는 라테라노 대성당은 교황이 교구장인 로마교구의 주교좌 성당이다. 이번 희년은 2026년 1월 6일까지라고 한다.

희년은 교회가 신자에게 특별한 은혜를 베푸는 ‘성스러운 해’다. 구약성서에 따르면 희년에는 빚을 진 사람은 탕감받고 노예는 해방됐다. 유대인들은 양뿔 모양의 요벨이라는 나팔을 불며 축제를 벌였다. 희년을 뜻하는 라틴어 유빌레움(jubilaeum)도 요벨에서 유래됐다고 한다. 당초 50년마다 돌아오던 희년은 1470년 바오로 2세 교황이 25년 주기로 바꾸었다. 평생 희년을 지내지 못하는 사람이 적지 않았기 때문이다. 한국천주교회는 김대건 신부 탄생 200주년이었던 2021년을 교황청의 허락을 받아 희년으로 기념하기도 했다.

우리나라에선 고려시대의 전민변정도감(田民辨正都監)을 희년의 정신과 연결 짓기도 한다. 권문세족이 농장을 확대하면서 노동력을 확보하고자 양인을 천인으로 만드는 압량위천(壓良爲賤)의 폐단을 바로잡는 목적이었다. 조선시대 흉년이 들면 세금이나 환곡을 유예하거나 면제한 정퇴(停退)도 다르지 않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앞서 내놓은 메시지에서 “희년 정신에 따라 국제사회가 ‘생태적 부채’를 인식하고 부채 탕감을 위해 노력할 것”을 촉구했다. 기후변화는 부유한 국가들에 대부분의 책임이 있음에도 정작 그 피해는 가난한 나라에 돌아가고 있다는 문제의식의 표현이다. 각국이 군비 지출을 줄여 세계 기아 퇴치로 전환할 것을 당부하기도 했다.

희년이 태동한 이스라엘, 그것도 예수가 태어난 베들레헴에 크리스마스트리가 보이지 않았다는 뉴스가 안타깝다. 이스라엘와 하마스·헤즈볼라의 분쟁은 물론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도 하루빨리 마침표를 찍어야 한다. 우리나라도 혼란을 일찌감치 마무리 짓는 희년이 됐으면 좋겠다.

서동철 논설위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