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연간 GDP 성장률 1.5%로 유지
"소비자심리 충격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보다 큰 수준"
"경제적 비관론이 민간소비·투자·재정 지출 제약할수도"
"재정 긴축효과 완화 위해 30조원 규모 추경 필요"
(사진= 한국은행)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씨티는 26일 발간한 보고서를 통해 “향후 한국은 재정 및 통화 정책의 조화로운 실행이 중요하다”면서 “추경 및 금리 인하가 경제 안정화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씨티는 한국의 2024년 4분기 GDP 성장률을 전기 대비 0.3%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김진욱 씨티 이코노미스트는 “이는 약한 소비 지표(소비자 심리, 신용카드 소비)와 회복 중인 무역 지표의 엇갈린 흐름을 반영한 것”이라면서 “2024년과 2025년 연간 GDP 성장률은 각각 2.1%와 1.5%로 유지한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2025년 1분기 전망에 대해 “기준금리 추가 인하와 재정 지출 확대 등 정책적 경기 부양을 통해 전기 대비 0.6% 성장 반등을 예상한다”고 덧붙였다.
또한 김 이코노미스트는 “한은은 경제 성장 안정화를 우선으로 한 가운데 연말 계절적 요인으로 단기 자금 시장에 충분한 유동성을 공급할 필요 있다”면서 “3개월 만기 양도성예금증서(CD)와 기업어음(CP) 금리 상승으로 긴축 조건 초기 신호가 관측된다”고 말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