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8 (토)

이 시국에…企銀노조 ‘연봉 인상’ 총파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노조 “시중은행보다 연봉30%적어”

요구안 불응땐 추가 파업도 검토

금융권 “국책은행 특성 망각” 비판

사측 “비노조원 배치, 불편 최소화”

헤럴드경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이 경기침체 고통을 받는 와중에도 IBK기업은행 노동조합이 27일 ‘차별 임금’과 ‘체불 임금’ 해소를 요구하며 사상 첫 단독 총파업에 들어갔다. 이날 오전 을지로 본점 앞에 모인 조합원들 김벼리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IBK기업은행 노동조합이 ‘차별 임금’과 ‘체불 임금’ 해소를 요구하며 사상 첫 단독 총파업에 들어갔다. 최근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어려움이 가중되는 상황에서 ‘국책은행’으로서 책무를 저버린 것이라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온다.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IBK기업은행 임단투(임금·단체협약에 관한 투쟁) 비대위원회는 이날 오전 10시 30분 을지로 본점 앞에서 사상 첫 단독 총파업에 돌입했다. 노조에 따르면 이날 파업에는 조합원 7000~8000명이 참여했다. 사전 집회로 문을 연 집회는 본대회에 이어 광화문 금융위원회를 향한 거리행진을 끝으로 마무리된다.

IBK기업은행 노조는 이날 파업을 ‘경고성’으로 규정했다. 은행에서 연말은 바쁜 시기인 만큼 이번에는 당일 파업으로 끝내지만, 상황에 따라 내년 추가 파업을 진행하는 것도 검토 중이다. 다른 금융 공공기관과 연대해 규모를 키우는 방안도 계획 중이다.

노조는 사측과 기획재정부·금융위원회 등에 ‘차별 임금’과 ‘체불 임금’을 해소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이익배분제 도입을 통한 특별성과급 지급과 밀린 보상휴가(시간 외 수당) 현금 지급, 우리사주 금액 증액 등이 핵심 내용이다.

노조는 현재 기업은행이 공공기관이라는 이유로 같은 노동을 제공하는 시중은행 직원보다 30% 적은 수준의 임금을 주고 있다고 주장한다. 공공기관으로 분류된 기업은행은 기획재정부의 ‘공무원 임금 가이드라인’ 적용 대상이다. 인건비로 쓸 수 있는 연간 총액을 미리 정해두고 그 범위에서만 인건비를 지출하는 구조다.

은행별 ‘경영현황 공개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기준 기업은행의 임직원 1인당 평균 근로소득은 8528만원이었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 등 4대 시중은행 평균(1억1350만원)보다 24.9%가량 적은 수준이다. 또한 노조는 정부의 총인건비 제한 탓에 1인당 약 600만원에 이르는 시간외근무 수당은 아예 지급하지도 않는다고 주장한다.

김형선 기업은행 지부 위원장(금융노조 위원장 겸직)은 “기업은행은 공공기관이라는 이유로 동일 노동을 제공하는 시중은행보다 30% 적은 임금을 직원에게 지급하고, 정부의 총인건비 제한을 핑계로 직원 1인당 약 600만원에 이르는 시간외근무 수당도 지급하지 않고 있다. 전자가 차별 임금이고, 후자는 임금 체불”이라고 강조했다.

기업은행 노조는 지난 9월부터 사측과 임단협을 진행해 왔다. 하지만 임금과 시간 외 근무수당에 대한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지난 12일 노조원을 대상으로 쟁의행위 찬반 투표를 진행했다. 조합원 88%가 참여하고, 그중 95%인 6241명이 찬성하면서 파업이 통과됐다.

다만 금융권 안팎에서는 이번 파업의 정당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국책은행의 기본적 특성이 있고, 직원들도 그걸 다 알고 있을 것”이라며 “요즘처럼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분들이 어려운 시기에 이들에게 특화된 국책 특수은행이 파업에 들어가는 것은 책임을 다하지 못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국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폐업 신고를 한 사업자는 98만6487명이었다. 관련 통계가 집계된 2006년 이후 역대 최고치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지난 18∼22일 중소기업 1000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서도 응답 기업의 23.1%가 올해보다 내년 경영 사정이 악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59.7%가 내년 경영환경이 올해와 비슷할 것으로 전망했다. 호전될 것이라는 응답은 17.2%에 그쳤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이번 파업과 관련해 “고객 사전 안내와 비노조 인력 영업점 배치 등 고객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벼리 기자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